본문 바로가기

dmz2

비무장지대(DMZ)의 남방한계선(SLL)과 북방한계선(NLL) 남북한의 군사적 충돌을 막기 위한 완충지대 비무장지대(DMZ)와 남북한의 최전방 남방한계선(SLL)과 북방한계선(NLL) 1950년 6월 25일부터 1953년 7월 27까지 동북아의 작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한국전쟁은 세계대전과 맞먹는 규모였습니다.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 판문점에서 휴전협정(정전협정)이 체결됩니다. 1973년 7월 27일 오후 10시 휴전협정이 발효되는데 때를 기준으로 해서 휴전선(군사분계선)을 결정하기로 했습니다. 남북한은 휴전협정이 발효되는 시점인 오후 10시까지 한 치의 땅이라도 더 차지하기 위해 치열한 공방전이 계속됐습니다. 1953년 오후 10시에 확정된 휴전선(군사분계선)이 오늘의 휴전선입니다. 군사분계선(휴전선)을 기준으로 남쪽으로 2km 아래쪽이 남방한계선(So.. 2018. 4. 15.
군사분계선(DML 휴전선)과 비무장지대(DMZ)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정전협정)으로 확정된 한반도 중앙을 가르는 군사분계선(DML, 휴전선)과 비무장지대(DMZ) 1953년 7월 27일 오전 10시에 체결되고 오후 10시에 발효된 이른바 6·25 한국전쟁의 정전협정(휴전협정)에 의해 만들어진 155마일(248km)의 군사분계선(DML)을 우리는 휴전선이라고 통칭하고 있습니다. 1950년 10월 중공의 주은래(저우언라이) 총리 겸 외교부장은 미국이 한반도 삼팔선을 넘어 북진하면 중공은 한국전쟁에 참전한다고 경고를 보냈습니다. 중공(중국)의 참전으로 한국전쟁의 확전을 우려한 유엔은 3인 위원회 대표를 통해 1950년 12월 중순부터 중공 측과 정전협상을 벌였지만, 1951년 1월 초순 중공은 유엔의 제의를 거부하고, 이른바 인해전술의 대규모 공.. 2018. 4.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