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자광3

세조와 이시애의 난, 유자광 한명회 신숙주 세조의 중앙집권 정책에 반발하여 일어난 이시애의 난 이시애의 난으로 역사의 전면에 등장한 유자광과 반역 연루설에 곤욕을 치른 세조의 최측근 한명회와 신숙주 이시애의 난은 세조 13년(1467)에 함길도(함경도) 일어난 반란이다. 세종대왕 재위 시 북방 여진족을 소탕하여 최윤덕 장군은 4군을 개척하였고, 북방의 호랑이 김종서 장군은 6진 개척하여 조선의 국경이 넓어졌다. 함길도(함경도)는 이때 조선의 영토에 편입됐다. 세종대왕은 함길도 지역을 조선의 영토로 확고히 하고자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삼남 지역의 백성을 비롯하여 다른 지역도 북방에 이주시켰다. 이른바 북방사민정책으로 토착민과 이주민에게 많은 혜택을 줬다. 군역과 부역 등 국역(國役)을 면제해줬고, 관직을 주거나 올려주고 토착민을 관리로 임명하여 .. 2016. 12. 7.
조선왕조시대 3대 간신 - 유자광, 임사홍(임숭재), 김자점 사리사욕(私利私慾)에 눈이 멀어 나라와 백성을 위한 공욕(公慾)을 버린 조선왕조 시대 3대 간신 - 유자광, 임사홍(임숭재), 김자점 간신(奸臣)은 세상의 모습을 보고 들을 수 있는 군주의 눈과 귀를 가리고, 온갖 아부와 아첨, 감언이설로 절대권력자의 눈과 귀만 즐겁게 해주는 자들이다. 국가와 백성을 위한 공욕(公慾)보다는 개인의 영달을 위해 절대 권력에 빌붙고 권력을 이용하여 부정부패 등을 일삼아 사리사욕(私利私慾)을 채우는 자들이 간신(奸臣)이다. 조선왕조 시대에 국정을 농단하고 권력을 전횡하여 나라의 기강과 근간을 흔든 간신은 한명회, 유자광, 김자점, 윤원형, 임사홍과 임숭재 부자(父子), 이이첨, 홍국영을 비롯하여 숱하게 많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자광, 임사홍(임숭재), 김자점을 조선왕조시대 .. 2016. 11. 9.
조선 시대 4대 사화 - 무오사화(연산군 유자광) 조선 시대 4대 사화(士禍, 선비들의 재앙) 연산군 4년(1498년) 유자광 등 훈구(공신)세력이 사림(士林, 선비)세력을 숙청한 무오사화(戊午士禍) 조선 9대 왕 성종은 훈구세력이 국정을 주도하자 사림 세력을 등용하여 훈구세력의 독주를 막았다. 1494년 연산군이 조선의 10대 왕으로 즉위했다. 연산군 즉위 초는 사림세력과 함께 제도를 개혁해가며 태평성대를 이어갔다. 국정이 안정되자 사림세력은 임금도 성리학(주자학, 도학)의 이념에 맞춰 이상적인 군주가 되어야 한다고 하며 연산군에게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임금과 신하(사림) 간에 감정의 골은 깊어지며 대립을 하게 된다. 연산군은 어머니 폐비 윤씨의 일을 알고부터 방탕한 생활을 넘어 폭군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1498년(연산군 4년,.. 2016.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