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은 개벽중

조선 19대 왕 숙종 대왕(사색당파) 이순

by 도생(道生) 2016. 9. 23.

근세조선 19대 왕 숙종(肅宗) 대왕 이순 - 사색당파(四色黨派)

 

 

 

 

 

 

 

 

 

 

 

 

 

 

 

조선의 18대 왕 현종대왕 이연(1641~1674)이 34살에 급작스럽게 승하하면서 왕세자였던 이연(1661~1720)이 1674년 14살의 나이에 조선의 19대 왕으로 등극한다.

 

 

조선의 19대 왕 숙종대왕 이순은 아버지 현종대왕과 어머니 명성왕후의 독자로 왕위에 올랐다.

병약한 몸이라 모두가 걱정하였지만, 재위기간(46년)은 영조대왕(53년) 다음으로 길었으며, 조선 왕 중에서 여섯 번째로 장수(60세)하였다.

 

 

 

숙종대왕 하면 떠오르는 것은 왕권강화를 위한 환국 정치와 사색당파, 인현왕후와 숙의 최씨(영조 어머니), 그리고 천하의 요부 장희빈이다. 숙종은 14살의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올랐지만, 수렴청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친정(親政)하였다.

 

 

숙종이 즉위하자마자 가뭄과 홍수 등 자연재해가 발생하였고, 조정의 주도권을 쥔 남인과 서인이 서로 대립하고 있었다.

숙종의 왕권강화를 위해 민생을 안정시켰다.

 

 

 

 

 

 

 

 

 

 

 

 

 

숙종은 정치와 경제, 사회와 문화, 경제와 국방 등 여러 방면에서 업적을 남겼다.

대동법 시행, 양전 시행, 상평통보 발행, 군제 개편과 북한산성 등 여러 산성을축했다.

『선원계보』, 『대명집례』, 『열조수교』, 『북관지』, 『신증동국여지승람』, 『대전속록』, 『신전자초방』 등이 편찬 간행되었다.

 

 

조선의 2대 공정왕에게 정종(定宗)의 묘호를 올렸으며, 노산군으로 강등된 비운의 왕에게 단종 묘호를 올렸고, 노비가 된 노산군부인 송씨는 정순왕후로 복위되었다. 폐위되어 사사된 소현세자의 세자빈 강씨를 복권하고 성삼문 등 사육신도 복권하였다. 

1712(숙종 38)에는 청나라와 국경을 확정 지은 백두산정계비를 세웠다.

 

 

 

 

조선의 19대 왕 숙종대왕 이순은 즉위 초부터 왕권 강화에 나섰다.

그동안 국정을 장악하고 있던 남인과 서인의 신권(臣權) 세력을 3차례의 환국(換) 정치를 통해 서로 교차 집권시키며 강력한 왕권으로 국정을 장악하였다. 숙종대왕 이순의 왕권강화 정책 3차례의 환국 정치 속에서 남인과 서인(노론과 소론)의 정치보복이 반복됐다.

 

 

 

 

환국 정치는 조선의 임금 숙종이 지배세력의 판을 바꾼 것을 말한다. 

환국 정치가 임금이 일방적으로 지배세력을 바꿨다기보다는 왕권을 강화하려 했던 숙종의 의지와 남인과 서인의 대립관계, 그리고 여인들의 궁중 음모가 서로 맞물려 일어난 정치판이며, 숙종은 그 중심에서 저울질하였고 힘의 균형을 조절하였다.

 

 

 

 

 

 

 

 

 

 

 

 

 

 

선조 때 사림(士林, 선비) 세력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되어 시작된 붕당정치는 숙종의 환국 정치 구도 속에 권력을 독점하여 이익을 극대화하려사색당파의 붕당정치로 변질하였다.

 

 

 

일부에서는 조선의 붕당정치, 사색당파를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서로 대립과 반목으로 죽고 죽이는 싸움을 했던 사색당파의 변질된 붕당정치 폐해가 커서 부정적으로 보이는 면도 있다.

 

500년 동안 당파싸움만 하다 조선이 망했다는 일제가 만든 식민사관과 근현대 학자들이 사색당파의 당파싸움, 즉 정쟁 사건 중심으로 보는 편향된 역사관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선조 때부터 본격적으로 사림(士林, 선비)의 붕당정치가 시작됐고, 이후 모든 임금은 사색당파에 포함된 신하를 통해서 치세하였다.

 

아무리 뛰어난 희대의 성군도 임금 혼자서는 나라를 다스릴 수 없다. 뛰어난 신하들이 보필할 때 성군의 치세가 빛을 발할 수 있다. 그렇듯 조선의 임금을 보좌한 신하들이 조선의 정치, 경제, 문화, 사회 등 여러 방면에서 활약하여 붕당이 생긴 이후 300년 동안 조선의 역사를 만들었다. 

 

 

 

 

 

 

 

 

 

 

 

 

 

조선의 17대 왕 효종과 18대 왕

현종 때 권력을 잡았던 서인 세력은 조선의 19대 왕 숙종대왕 이순의 재위 중 노론과 소론으로 분열한다.

3차례의 환국을 거치면서 남인과 서인은 피의 보복을 한다.

 

 

 

 

1680년(숙종 6) 1차 경신환국(庚申)

 

조정의 주도권을 잡고 있던 남인 허적이 군력을 남용하여 기름칠 한 군사천막(유악)을 사용하자 숙종은 심기가 불편했다.

서인의 김석주 등은 남인의 거두 허적의 서자 허견이 인조대왕(인평대군의 아들)의 손자 복창군, 복선군, 복평군과 역모를 꾸몄다고 고변하면서 남인은 실각한다.

 

경신환국 때 남인에 대한 탄압과 강도에 대한 격론이 벌어졌고, 서인은 송시열, 김만중 등을 중심으로 한 노장파(노론)와 한태동, 윤증 등을 중심으로 한 소장파(소론)로 분열됐다. 송시열과 윤증은 스승과 제자 사이였지만, 이때 사제지간의 관계가 완전히 틀어졌다.

 

조선왕조를 대표하는 4개의 붕당(朋黨) 사색당파는 남인, 북인, 노론, 소론이다. 

숙종의 환국 정치를 통해서 기존에 있던 남인과 북인 외에 서인에서 분열한 노론과 소론으로 사색당파가 시작되었다.

 

 

 

 

 

 

1689년(숙종 15) 2차 기사환국(己巳換局)

 

소의 장씨(장옥정)가 숙종의 아들을 낳자(1688년) 희빈으로 봉하고 아들 윤(20대 왕 경종)왕세자로 책봉하려 하였다.

서인의 노론과 소론 모두 반대에도 숙종은 아들 윤을 왕세자로 책봉(1690년)하고 중전 인현왕후 민씨를 폐위한다.

 

1690년 장희빈은 중전의 자리에 오른다. 장희빈은 최초로 궁녀의 신분에서 왕비에 오른다.

왕명에 정면으로 도전하였다는 이유로 서인의 송시열과 김수항 등은 유배되었다가 사사된다.

 

조정의 주도권은 서인(노론과 소론)에서 남인으로 넘어간다.  

1690년 장희빈은 둘째 아들 성수를 낳았으나 두 달 만에 죽는다.

 

 

 

 

1694년(숙종 20) 3차 갑술환국(甲戌換局)

 

조정의 주도권을 잡은 남인 세력의 권력 남용 등 병폐가 하나둘 터져 나왔고, 중전의 자리에 오른 장옥정(장희빈)의 교만, 불경, 방자한 언행에 숙종의 마음은 장옥정(장희빈)으로부터 멀어져갔다.

 

이때 남인 민암이 노론과 소론 세력이 인현왕후의 복위와 남인 제거 등의 음모를 꾸몄다고 서인(노론과 소론)들을 체포하고 고문하였다. 서인(노론과 소론)을 모두 제거하려던 남인의 계획은 숙종에 의해 제동이 걸리고 남인을 제거한다.

 

 

숙종은 남인 세력을 유배 사사하고 왕비 장씨(장옥정)를 희빈으로 강등시켰다.

폐위됐던 인현왕후 민씨는 복위되었다.

 

갑술환국으로 소론이 주도권을 잡았다.

그러나 장희빈이 취선당에서 인현왕후를 저주한 일로 벌어진 '무고의 옥'으로 말미암아 노론으로 주도권이 넘어간다.

 

 

 

 

 

 

 

 

 

 

 

 

 

장옥정(장희빈)은 숙종의 어머니 명성왕후에 의해 출궁(1680년) 당했다가, 1683년(숙종 9) 명성왕후가 승하하자 숙종이 다시 궁궐로 불러들였다. 장옥정은 1686년 정식 후궁인 숙의(종4품)로 봉해졌고, 1688년 소의(정2품)로 봉해졌고, 1689년 빈(정1품)으로 책봉된다. 장희빈은 1690년 조선의 19대 왕 숙종대왕 이순의 왕비가 된다.

 

인현왕후가 승하하면서 장희빈이 그동안 신당을 차려놓고 인현왕후를 저주하는 등 악녀의 모습이 발각되어 1701년(숙종 27) 죽는다.

 

 

 

병약했지만 강한 임금이었던 숙종은 왕권강화를 위한 환국 정치로 임금의 생각과 맞지 않는 정체세력을 과감하고 때론 잔인하게 내쳐서 절대왕권을 추구했다.

 

 

남인과 서인(노론과 소론)의 정치적 대립을 숙종은 환국 정치로 국면을 전환했고, 그때마다 조정에는 피바람이 불었다.

재위 중 인현왕후 민씨, 숙의 최씨(영조대왕 어머니), 희대의 요부 장희빈의 치마폭에서 중심을 잡지 못하기도 했다.

 

 

조선의 19대 왕 숙종대왕 이순은 1720년(숙종 46) 60세로 승하한다.

묘호는 숙종(肅宗)이며 시호는 숙종현의광륜예성영렬유모영운홍인준덕배천합도계휴독경정중협극신의대훈장문헌무경명원효대왕(肅宗顯義光倫睿聖英烈裕謨永運洪仁峻德配天合道啓休篤慶正中恊極神毅大勳章文憲武敬明元孝大王)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