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은 개벽중

율곡 이이와 어머니 신사임당 신인선(1)

by 도생(道生) 2016. 11. 21.

조선 중기 대학자 율곡 이이어머니 신사임당 신인선(申仁善) -(1)

 

 

 

 

 

 

 

 

 

 

 

 

 

 

 

 

조선 중기의 대학자 우계 성혼(1535~1598, 중종 30~선조 31), 구봉 송익필(1534~1599, 중종 29~선조 32), 율곡 이이(1537~1584, 중종 32~선조 17) 3명은 신분의 벽을 뛰어넘어 학문을 논하고 돈독한 우정을 나눈 사이였다.

 

우계 성혼과 구봉 송익필, 율곡 이이 세 사람이 도의지교(道義之交)를 맺고 35년간 학문적 교류와 우정을 담아 주고받은 편지는 후대에 현수간(三賢手簡)』으로 만들어졌고, 보물 1415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선 중기 대학자이며 정치가였던 율곡 이이는 신사임당의 셋째 아들이다.

율곡 이이와 신사임당 모자(母子)는 대한민국 화폐 초상에 함께 등장한다.

율곡 이이는 오천 원짜리 지폐에 초상이 들어 있고, 어머니 신사임당은 오만 원짜리 지폐에 초상이 들어 있다.

 

 

 

 

 

 

 

 

 

 

 

 

 

 

 

율곡 이이의 어머니 신사임당 신인선(1504~1551, 연산군 10~명종 6)은 평산 신씨로 명문가의 후손이다.

신사임당 신인선의 아버지는 신명화, 어머니는 용인 이씨다.

 

 

 

신사임당 신인선은 평산 신씨 시조 신숭겸의 19대손이 된다.

신사임당 신인선의 고조부 신개는 세종대왕 재위 시 우의정과 좌의정을 지냈다.

 

신사임당의 증조부 신자승(성균관 대사성)은 정선공주와 남이 장군 사이에서 태어난 큰딸과 혼인했다.

(조선 3대 왕 태종 이방원과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태어난 넷째 딸 정선공주)

신사임당의 조부 신숙권은 영월군수를 역임했다.

아버지 신명화(1476~1522)가 41살에 소과에 응시하여 진사가 되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신사임당 신인선의 외가는 용인 이씨 집안이다.

신사임당의 어머니 용인 이씨의 증조부 최치운은 세종대왕 재위 시 이조참판을 지냈으며, 조부 최응현은 형조참판을 지냈다.

 

강릉 오죽헌을 지은 사람이 용인 이씨의 외조부 최치운이며, 최치운은 아들 최응현에게, 최응현은 사위 (용인 이씨) 이사온에게, 이사온은 사위 신명화에게 주었다. 

 

신사임당 신인선을 기준으로 하면 아버지는 신명화, 이사온은 외조부, 최응현은 외외증조부, 최치운은 외외고조부가 된다.

 

 

 

 

 

 

 

 

 

 

 

 

 

 

신사임당의 남편 이원수는 덕수 이씨로 사대부 집안이었지만, 신씨 집안에 미치지 못했다.

율곡 이이의 친가보다 외가와 외외가가 더 명문가였다고 볼 수 있다.

 

 

아버지 신명화와 어머니 용인 이씨 사이에서 신사임당 신인선이 태어났고,

아버지 이원수와 어머니 신사임당 신인선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난 이가 바로 율곡 이이다.

 

 

 

 

신사임당 신인선의 외조부 이사온은 식년시에 급제하여 생원이 되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았다.

영특한 둘째 손녀 신인선을 총애하여 소학을 비롯한 학문과 시, 서 등을 가르쳤고 그림에도 능했다고 한다.

 

신사임당이 유학 경전을 자주 보고 글을 많이 썼다고 하나 그림만 전할 뿐 글은 전하지 않는다.

신사임당 신인선(1504~1551)이 열아홉 살 되던 1522년(명종 7) 이원수(1501~ 1561)와 강릉에서 혼인하였다.

 

 

 

 

신인선의 호가 사임당(師任堂)이다.

고대 중국의 상나라를 멸하고 주나라를 창업한 문왕의 어머니가 태임(太任)이다.

 

공자는 군주의 이상적인 인물로 '요순우탕주공'을 말하였다.

공자가 말한 7명 중 주나라에만 문왕과 무왕, 그리고 무왕의 동생 주공단 세 명이 있다.

 

 

 

신사임당 신인선이 현숙한 여인의 전형인 태임의 정성스런 태교(胎敎)를 본받으려 한다는 의미에서 사임당(師任堂)이란 호를 스스로 붙였다고 한다. 신인선의 호 사임당에서 자식에 대한 지고한 사랑과 자비스러운 어머니의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

 

 

문왕(아들 무왕)은 은나라 폭군 걸주(桀紂)를 폐하고 주나라를 창업한 인물이다.

수많은 역모사건이 일어났고 때론 조작되기도 했던 조선 시대에 사대부 집안의 아녀자가 새로운 나라(역성혁명)를 연 주나라 문왕의 어머니 태임을 흠모하여 자신의 호로 삼은 것은 자칫 역모로도 연결될 수 있는 일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현모양처 신사임당 신인선의 모습은 아들 율곡 이이가 저술한 율곡전서』 의 선비행장行狀, 돌아가신 나의 어머니 일대기)이 가장 기초적인 사료다.

 

 

율곡 이이의 선비행장을 토대로 율곡의 제자 김장생과 김장생의 제자 우암 송시열 등 노론 세력에 의해 신사임당은 현재의 현명한 어머니요 어질고 착한 아내의 모습, 덕을 갖춘 여인, 현모양처의 전형으로 자리 잡으면서 세인의 존경을 받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