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영환 혈죽2

을사늑약 체결에 항거한 충정공 민영환 자결과 혈죽 일본 제국주의가 대한제국을 실질적으로 식민 지배하기 시작한 1905년 망국적 을사늑약 체결에 항거한 대한제국 충정공 민영환 자결과 혈죽(血竹) 프랑스 출신의 뮈텔(1854~1933) 대주교는 1880년 11월 조선 황해도에 들어왔으며 1925년 대주교가 됐고 1933년 80세를 일기로 선종(善終)했습니다. 뮈텔 대주교는 1890년부터 1933년까지 약 43년 동안 일기를 기록했습니다. 일기에는 가톨릭 업무 외에 개인적 생활과 조선의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문제를 기록해 놓았습니다. 뮈텔 대주교는 황해도 해주 출신으로 1895년 가톨릭 학교에 입학한 후 가톨릭을 신앙한 안중근(1879~1910) 의사와 인연이 있습니다. 후일 안중근 의사가 가톨릭교회에서 학교를 운영해 백성들을 계몽시키자고 건의했지만, 뮈텔.. 2022. 7. 26.
대한제국 충정공 민영환 혈죽 을사늑약에 항거하며 자결한 대한제국 충정공 민영환과 혈죽(血竹) 일본 제국주의가 강압적으로 을사늑약을 체결하며 대한제국의 외교 주권을 빼앗자 충정공 민영환은 자결하였다. 민영환의 피가 묻은 옷을 보관하고 있던 마루에서 그의 충절을 기리는 듯한 혈죽(血竹)이 돋아났다. 대한제국 고종황제는 민영환에게 충정공(忠正公)의 시호를 내렸다. 조선 26대 왕 고종의 어머니 여흥부대부인 민씨(1818~1898)는 민치구(1795~1874)의 딸이다. 민치구의 아들이며 여흥부대부인 민씨의 남동생 민겸호(1838~1882)는 충정공 민영환(1861~1905)의 친아버지다. 민치구의 아들이며 여흥부대부인의 남동생 민승호(1830~1874)는 아들이 없는 11촌 민치록(1799~1858)의 양자로 들어갔다. 고종(1852~1.. 2017. 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