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4대 사화4

조선 시대 4대 사화 - 을사사화(윤임 윤원형 대윤과 소윤 외척) 조선 시대 4대 사화(士禍, 선비들의 재앙) 1545년(명종 즉위년) 왕실의 외척 세력 윤임과 윤원형 대윤과 소윤의 권력 투쟁 을사사화(乙巳士禍) 조선 11대 왕 중종(1488~1544, 재위 1506~1544)이 1544년 승하하고, 조선 12대 왕 인종(1515~1545, 재위 1544~1545)이 재위 8개월 남짓 만에 갑작스럽게 승하한다. 1534년 조선 13대 왕으로 즉위한 명종 이환(1534~1567, 재위 1545~1567)은 재위 23년의 대다수를 허수아비 왕으로 보냈다. 조선 11대 왕 중종은 3명의 왕비와 9명의 후궁을 두었다. 중종의 조강지처 단경왕후 신씨(1487~1557, 재위 1506년 9월 2일 ~ 9일)는 중종이 즉위한 지 7일 만에 반정공신들에 의해 폐위됐다. 제1계비 장경.. 2016. 10. 31.
조선 시대 4대 사화 - 기묘사화(중종 조광조) 조선 시대 4대 사화(士禍, 선비들의 재앙) 1519년(중종 14) 조선 11대 왕 중종과 훈구(공신)세력이 개혁정치가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 세력을 숙청한 선비들의 재앙 기묘사화(己卯士禍) 왕이 될 마음이 없었던 남자, 반정 세력에게 떠밀려 왕이 된 남자 바로 조선 11대 왕 중종이다. 1506년 반정에 성공한 훈구(공신)세력이 권력의 주도권을 장악했다. 중종 재위 초기는 반정공신 박원종(1467~1510), 성희안(1461~1513), 유순정(1459~1512)의 세상이었다. 중종반정을 주도한 박원종, 성희안, 유순정이 세상을 떠나자 훈구(공신)세력이 주춤한 틈을 이용하여 중종은 왕권강화와 개혁정치를 하기 위해 사림세력을 등용한다. 이때 등장한 인물이 개혁정치가 정암 조광조다. 조선 시.. 2016. 10. 30.
조선 시대 4대 사화 - 갑자사화(연산군 임사홍) 조선 시대 4대 사화(士禍, 선비들의 재앙)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의 어머니 폐비 윤씨 복위 문제로 임사홍, 신수근 등 궁중세력이 사림세력을 숙청한 갑자사화(甲子士禍)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이후 사간원, 홍문관, 사헌부, 즉 삼사(三司)에서 연산군에게 직간하는 신하가 사라졌다. 조선 시대 4대 사화 중 두 번째 사화인 갑자사화(甲子士禍)는 연산군과 궁중 세력이 부중(府中, 조정 대신) 세력을 숙청한 사화(士禍)다. 연산군은 갑자사화(1504)가 일어나기 1년 전인 1503년 예조판서 이세좌가 연회에서 임금이 따라 주는 술을 흘렸다는 이유로 귀양을 보냈다가 다시 풀어준다. 이세좌는 성종의 명으로 폐비 윤씨에게 사약을 가지고 간 인물이다. 1504년에 경기도 관찰사 홍귀달의 손녀가 후궁으.. 2016. 10. 29.
조선 시대 4대 사화 - 무오사화(연산군 유자광) 조선 시대 4대 사화(士禍, 선비들의 재앙) 연산군 4년(1498년) 유자광 등 훈구(공신)세력이 사림(士林, 선비)세력을 숙청한 무오사화(戊午士禍) 조선 9대 왕 성종은 훈구세력이 국정을 주도하자 사림 세력을 등용하여 훈구세력의 독주를 막았다. 1494년 연산군이 조선의 10대 왕으로 즉위했다. 연산군 즉위 초는 사림세력과 함께 제도를 개혁해가며 태평성대를 이어갔다. 국정이 안정되자 사림세력은 임금도 성리학(주자학, 도학)의 이념에 맞춰 이상적인 군주가 되어야 한다고 하며 연산군에게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임금과 신하(사림) 간에 감정의 골은 깊어지며 대립을 하게 된다. 연산군은 어머니 폐비 윤씨의 일을 알고부터 방탕한 생활을 넘어 폭군으로 변해가고 있었다. 1498년(연산군 4년,.. 2016. 10.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