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 왕2

조선의 왕 왕비 왕세자의 수렴청정 대리청정 섭정(원상제) 조선왕조 왕과 왕비, 왕세자의 수렴청정과 대리청정, 섭정(원상제) 조선왕조에는 수렴청정과 대리청정, 섭정(원상제) 등 왕을 보필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제도가 있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주체는 나이와 상관없이 무조건 왕이다. 수렴청정과 섭정을 한 일부 왕비와 훈구(공신), 외척 등의 특정 세력이 권력을 전횡하여 왕의 권위를 넘는 등 실질적으로 왕이 국정운영의 주체가 되지 못했던 때도 있었다. 수렴청정과 대리청정을 한 왕대비와 대왕대비, 왕세자의 지위와 권위는 왕과 동등하게 인정되어 국정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수렴청정과 대리청정이 왕과 동등한 권위를 가지고 왕을 보필 또는 대리로 국정을 운영하는 제도이지만, 엄밀하게 말해 왕을 보좌하는 제도다. 수렴청정과 대리청정도 모두 섭정(攝政)에 포함하지.. 2016. 10. 22.
조선왕조 추존왕 - 왕의 아버지 근세조선 왕조 추존왕 - 살아서는 임금이 아니었으나 죽어서 임금이 된 왕의 아버지 추존(追尊)왕 추존왕은 살아서는 임금이 아니었으나 죽어서 임금의 칭호가 붙여진 왕을 말한다. 조선 왕조의 추존왕은 임금 아닌 임금으로 사후(死後)에 왕으로 추존되어 신위가 종묘에 봉안됐다. 추존왕은 역대 왕(왕비)과 똑같은 예로 모셔진다. 조선뿐만 아니라 고려나 신라와 중국의 역대 왕조에서도 추존 왕 또는 추존 황제가 있다. 조선왕조의 추존왕은 정조대왕 이산이 양자로 입적하여 추존한 양아버지 진종(효장세자)을 제외하고 모두 왕의 친아버지다. 조선왕조에서 왕으로 추존된 경우는 나라를 창업하였을 때 조상을 왕으로 추존하였고, 왕위 계승 서열에 있지 않다가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올랐을 때와 왕세자에서 왕으로 등극하지 못하고 세상을.. 2016. 10.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