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순신장군3

현충사 이순신장군과 거북선(귀선) 성역화 된 현충사(顯忠祠),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거북선(귀선龜船) 충청도 아산의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모신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당이다. 조선 19대 왕 숙종은 충청도 유생의 상소를 보고 충청도 아산에 이순신 장군의 사당을 세우게 하였고, 현충의 시호를 내려 현재의 현충사가 되었다. 현충사는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헐리면서 폐쇄되었고, 일제강점기였던 1932년 현충사가 중건됐다. 1952년 진해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세워졌고, 1966년부터 현충사 성역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1968년 광화문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세워졌고, 이순신 장군의 출생한 날이 1973년 충무공 탄신일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거북선(귀선龜船)은 고려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나 실물은 없고 입에서 입으로 구전.. 2017. 1. 17.
율곡 이이와 이순신장군과 백사(오성) 이항복 율곡 이이와 충무공 이순신 장군, 그리고 오성대감 백사 이항복 율곡 이이(1536~1584)와 충무공 이순신 장군(1545~1598)은 덕수 이씨이며, 오성대감으로 잘 알려진 백사 이항복(1556~1618)은 경주 이씨다.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 과거에서 아홉 번 급제한 신화의 주인공 율곡 이이는 명종 19년(1564)에 관직에 나갔고, 이조판서(정 2품)직을 마지막으로 선조 17년(1584) 세상을 떠났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선조 9년(1576)에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고, 선조 31년(1598) 삼도수군통제사(종 2품)로 임진왜란 끝자락인 노량해전에서 전사했다. 오성대감으로 널리 알려진 백사 이항복은 선조 13년(1580)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고, 선조 33년(1600)에 영의정에 .. 2016. 11. 24.
임진왜란 3대 대첩 이순신 장군 한산도대첩 임진왜란 3대 대첩 - 충무공 이순신 장군 한산도대첩 1592년 4월 13일 부산포에 7백 척의 왜선에 약 2만 명에 육박하는 왜군이 침략해 들어왔다. 4월 21일 대구성 함락, 4월 26일 상주 함락, 4월 27일 문경새재를 넘어 4월 28일 충주 탄금대에서 신립장군이 무너졌다. 왜군은 조선군을 파죽지세로 몰아붙여 승승장구하며 1592년 5월 3일 한양도성에 들어왔다. 임진왜란 초기 이후 육상의 조선 군대는 부산진성, 동래성을 빼앗기며 연전연패를 거듭하고 있었다. 조선 왕 선조는 임진왜란이 발생하자 맹장(猛將) 신립장군을 삼도도순변사로 임명하여 왜군을 물리칠 것을 명하였다. 그러나 믿었던 신립장군마저 왜군에 패하고 자살하고 만다. 이순신 장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1년 전인 1591년(선조 24) 전라.. 2016. 1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