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6/1130

조선시대 3대 도적(의적) - 홍길동 임꺽정(임거정) 장길산 조선왕조 시대 3대 도적(의적) - 연산군 때 홍길동, 명종 때 임꺽정(임거정), 숙종 때 장길산 조선왕조시대 나라를 떠들썩하게 했던 3대 도적(의적) 홍길동과 임꺽정(임거정), 장길산은 실존인물이다. 조정에서는 홍길동, 임꺽정(임거정), 장길산이 무리를 이끌고 재물을 도둑질한 도적으로 보았고, 백성과 일부 야사에서는 의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조선왕조시대 3대 도적(의적) 홍길동, 임꺽정(임거정), 장길산은 국정이 문란하고 어지러운 사회 분위기에 나타난 도적들이다. 혹자는 홍길동과 임꺽정(임거정), 장길산은 모두 도적에 불과했으며, 소설에 의해 의적으로 미화됐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조선왕조 시대 3대 도적(의적) 연산군 때 충청도 일대에서 활동한 홍길동 조선왕조실록 『연산군일기』에 연산군 6년(1500).. 2016. 11. 10.
조선왕조시대 3대 간신 - 유자광, 임사홍(임숭재), 김자점 사리사욕(私利私慾)에 눈이 멀어 나라와 백성을 위한 공욕(公慾)을 버린 조선왕조 시대 3대 간신 - 유자광, 임사홍(임숭재), 김자점 간신(奸臣)은 세상의 모습을 보고 들을 수 있는 군주의 눈과 귀를 가리고, 온갖 아부와 아첨, 감언이설로 절대권력자의 눈과 귀만 즐겁게 해주는 자들이다. 국가와 백성을 위한 공욕(公慾)보다는 개인의 영달을 위해 절대 권력에 빌붙고 권력을 이용하여 부정부패 등을 일삼아 사리사욕(私利私慾)을 채우는 자들이 간신(奸臣)이다. 조선왕조 시대에 국정을 농단하고 권력을 전횡하여 나라의 기강과 근간을 흔든 간신은 한명회, 유자광, 김자점, 윤원형, 임사홍과 임숭재 부자(父子), 이이첨, 홍국영을 비롯하여 숱하게 많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유자광, 임사홍(임숭재), 김자점을 조선왕조시대 .. 2016. 11. 9.
조선시대 3대 기인 - 매월당 김시습 북창 정염(정북창) 토정 이지함 조선왕조 시대 3대 기인(奇人) - 매월당 김시습, 북창 정염(정북창), 토정 이지함 기인(奇人)은 일반인과 함께 세상을 살지만, 말과 행동, 정신과 사상이 보통사람과 다른 사람을 일컫는다. 기인은 일반인보다 가진 재주가 신통하고 비범한 사람이라 하여 이인(異人)이라고도 말한다. 매월당 김시습(1435~1493, 세종 17~성종 24), 북창 정염(정북창, 1506~1549, 중종 1~명종 4), 토정 이지함(1517~1578, 중종 12~선조 11)을 조선왕조 시대 3대 기인이라 부른다. 조선왕조 시대 3대 기인, 비운의 천재 첫 번째 기인은 매월당 김시습(1435~1493)이다. 어려서부터 천재로 소문이 자자했던 매월당 김시습은 임금의 부름을 받고 5살에 궁궐에 들어간다. 어린 김시습이 쓴 글을 보고.. 2016. 11. 8.
사육신과 함께 충절을 지킨 매월당 김시습 등 생육신 목숨을 바친 사육신(死六臣)과 함께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의 충절(忠節, 충성과 절의)을 지킨 매월당 김시습, 미수 성담수, 경은 이맹전, 관란 원호, 어계은자 조려, 추강 남효온 - 생육신(生六臣) 수양대군(세조)과 한명회, 신숙주 등이 결탁하여 왕위를 찬탈한 계유정난(1453년, 단종 1)이 끝나고, 1455년(단종 3)에 조선 6대 왕 단종대왕은 수양대군에게 전위한다. 1455년(세조 즉위년) 수양대군이 조선 7대 왕으로 즉위하고, 1456년에 성삼문, 박팽년 등 사육신이 단종복위운동을 벌이다 발각되어 모두 죽었다. 목숨을 바쳐 충신불사이군의 충절을 지킨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응부, 유성원 등 사육신과 함께 왕위찬탈을 한 수양대군을 왕으로 섬길 수 없다며 벼슬을 버리거나 방랑과 은.. 2016. 11. 7.
충신불사이군 성삼문 박팽년 등 사육신 단종복위운동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 충신(忠臣)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 성삼문, 하위지, 박팽년, 이개, 유응부, 유성원 - 죽음으로 충절을 지킨 사육신(死六臣)의 단종복위운동 세종대왕, 문종대왕, 단종대왕의 신하로 단종복위운동을 주도하다 발각되어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의 절개를 죽음으로 끝까지 지킨 사육신은 매죽헌(梅竹軒) 성삼문(1418~1456), 취금헌(醉琴軒) 박팽년(1417~1456), 백옥헌(白玉軒) 이개(1417~1456), 단계(丹溪) 하위지(1412~1456), 낭간(瑯玕) 유성원(미상~1456), 벽량(碧梁) 유응부(미상~1456) 여섯 분이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과 한명회 일파는 단종을 보필하던 김종서, 황보인, 남지 등 수많은 사람을 역모로 몰아 죽였다. 왕위찬탈의 .. 2016. 11. 6.
수양대군(세조)과 압구정 한명회 왕위찬탈 계유정난 세종대왕의 둘째 아들 수양대군(세조) 이유와 압구정 한명회의 왕위찬탈사건 - 계유정난(癸酉靖難) 조선 6대 왕 단종대왕 재위 1년(1453, 계유년)에 수양대군(세조)과 압구정 한명회가 주도해 왕위를 찬탈하기 위해 일으킨 계유정난이 발생한다. 조선 7대 왕 세조, 조선 8대 왕 예종, 조선 9대 왕 성종 때 무소불위의 권력을 손아귀에 쥐고 천하를 호령했던 한명회(1415~1487)의 호가 압구정이다. 연산군 때 쓰인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에는 한명회의 호를 압구정(押鷗亭)이라 기록하고 있고, 한명회가 만든 정자를 압구정(狎鷗亭)으로 기록하고 있다. 한명회의 할아버지 한상질은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정2품 예문관(홍문관)대제학(장관급)을 지냈다. 일곱 달 만에 태어난 칠삭둥이 한명회는 명문가 출신이었지만, .. 2016. 11. 5.
조선왕조(봉건)시대 국정농단과 권력 전횡 봉건주의체제 조선왕조시대 국정농단(國政壟斷)과 권력 정횡(權力專橫) 519년의 역사를 지속한 봉건주의적 사회였던 조선왕조시대에 사리사욕을 위해 권력을 전횡하고 국정을 농단한 일부 왕비와 특정 세력과 위정자가 있다. 흔히 봉건주의를 세습체제사회라고 하고, 봉건왕조시대가 끝나고 출현한 현재의 민주주의(공산주의, 자본주의)를 선출체제사회라고 한다. 전혀 다른 이질적인 사회구조 같지만, 최고권력자와 위정자 등 일부를 선출하는 방식을 제외하면 봉건왕조시대나 민주주의 사회나 대동소이하다. 조선왕조시대 건국 이념인 백성을 위한 애민(愛民)과 위민정치(爲民政治)와 국민이 주인인 현재의 민주공화국이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를 수도 있으나, 두 시대가 지향하는 바는 백성과 국민을 위한 정치구조다. 부국강병(富國强兵)은 예나 .. 2016. 11. 4.
태종 이방원 이방간 2차 왕자의 난(박포의 난) 정안대군(태종) 이방원과 회안대군 이방간의 권력 최정점을 향한 정면 대결 - 2차 왕자의 난(박포의 난) 1398년(태조)에 일어난 제1차 왕자의 난은 정안대군(태종) 이방원과 정도전 세력과 정면 재결이었다. 조선을 설계한 삼봉 정도전은 신덕왕후 강씨와 함께 태조 이성계의 서자이며 여덟째 아들인 이방석을 세자로 책봉하게 하였다. 삼봉은 조선을 설계한 기획자다. 모든 것은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여야 했기 때문에 가장 강력한 상대였던 이방원을 비롯한 왕자들이 권력의 중심에 있으면 안 되었다. 신권(臣權) 중심의 정치를 구상했던 삼봉 정도전과 왕권(王權) 중심의 정치를 구상했던 정안대군(태종) 이방원은 절대 섞일 수 없는 물과 기름과도 같았다. 흔히 왕자의 난은 태종 이방원이 왕이 되기 위한 권력에 대한 탐욕 .. 2016. 11. 3.
태종 이방원(왕권) 삼봉 정도전(신권) 1차 왕자의 난 왕위 계승권을 둘러싼 태종 이방원과 삼봉 정도전, 왕권정치와 신권정치의 정면 대결 - 1차 왕자의 난 조선 태조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이며, 조선 3대 왕으로 즉위한 태종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를 도와 역성혁명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였다. 태조 이성계가 창업한 근세조선의 개국공신 중 삼봉 정도전은 자타가 인정하는 단연 최고 일등공신이다. 태조 이성계의 역성혁명을 성공으로 이끈 삼봉 정도전은 이성계의 장자방이며 최고의 책사로 조선건국의 설계자이며 기획자였다. 조선은 창업 때부터 커다란 불씨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정안대군(태종) 이방원과 삼봉 정도전은 성리학적(주자학, 유교) 왕도정치, 즉 성리학적 이상 국가건설이라는 같은 꿈을 꾸었다. 그러나 왕권(王權) 중심의 조선을 생각하고 있던 정안대군(태종) 이방원과 .. 2016. 11. 2.
기축옥사- 서인 정철과 정여립 모반(역모)사건, 동인 몰락 조선왕조 최대 피의 숙청 사건 - 정여립 역모(모반)사건이 불러온 피의 광풍 기축옥사(己丑獄事) 정여립 모반사건을 계기로 서인(西人) 정철이 주도한 피의 숙청 기축옥사와 동인(東人)의 몰락 성종, 연산군, 중종, 인종, 명종 때까지 훈구(공신)세력과 사림(士林, 선비)세력은 엎치락뒤치락하며 정국의 주도권을 잡아왔다. 선조 때 이르러 사림세력이 정국의 주도권을 잡았으나 이조전랑의 자리를 놓고 시작된 개인적인 앙금은 1575년(선조 8) 사림(士林)세력이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되면서 정치적 대립관계 유지하는 붕당정치가 시작되었다. 정여립의 모반(역모)사건으로 촉발된 기축옥사(己丑獄事)는 1589년(기축년, 선조 22)에 시작하여 1590년(경인년, 선조 23), 1591년(신묘년, 선조 24)까지 3년 동안 .. 2016. 1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