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은 개벽중

세종대왕의 업적 훈민정음(한글) 창제

by 도생(道生) 2018. 10. 7.

대한민국 국보 제70호이며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훈민정음(訓民正音)

조선의 제4대 임금 세종대왕의 업적 훈민정음(한글) 창제

 

 

 

 

 

 

 

 

 

 

 

 

우리 민족의 정체성은 과연 무엇이대한민국의 정체성은 무엇일까요?

대한민국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많은 답변이 나올 수 있지만, 우리 민족의 정체성은 '바로 이것이다.'라고 답변할 사람이 많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우리의 소중한 역사와 정신문화가 중국과 일본에 의해 왜곡 조작되었고, 일제가 영구적인 식민통치 목적으로 조작해 만든 우리의 역사를 바로잡지 않은 채 그대로 가르치고 있는 대한민국 역사학계의 파렴치한 만행으로 말미암아 우리 민족은 정체성은 어둠에 갇힌 채 아직도 광복(光復)하지 못했습니다.

 

 

 

 

 

 

 

 

 

 

일본 제국주의는 식민통치 기간 내내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의 천인공노할 만행을 수없이 저질렀습니다.

우리의 말과 한글도 없앴고, 무엇보다 역사를 왜곡 조작하여 우리의 정체성을 없애버렸다는 점입니다.

 

 

 

요즘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까지 말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우리 것'이라는 말만 해도 '국뽕'으로 취급받는 세상입니다.

일제 식민주의 식민사관을 추종하는 대한민국 식민사학 카르텔에서 재야사학을 공격하기 위해 급조한 천박한 말이 '국뽕'입니다.

 

 

 

 

 

 

 

 

 

 

 

조선 4대 왕 세종대왕 이도 -훈민정음 한글 창제

http://gdlsg.tistory.com/1523

 

 

 

근세조선 27명의 임금 중에서 가장 위대한 임금으로 추앙받고 있는 분은 조선의 4대 임금 세종대왕입니다.

백성을 위한 애민정신, 끊임없는 자기계발, 문명화된 조선, 문화가 발달한 조선, 조선의 미래를 위해 인재를 발굴하고 양성하는 등 세종대왕의 업적은 너무 많습니다. 

 

결론부터 말한다면 훈민정음(한글)은 세종대왕의 위대한 업적이지만, 세종대왕 한 사람의 창작물이 아니란 사실입니다.

 

 

 

 

 

 

 

 

 

 

 

조선 초기 권력 다툼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 개인으로서는 불행한 삶을 살았지만, 한 나라의 임금으로서 백성을 위해 세종대왕의 업적이 많습니다. 세종대왕의 업적 중에서도 가장 큰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것은 단연 한글입니다.

 

 

한글 창제 당시에 많은 난관이 있었고 그 후로도 수백 년 동안 제대로 된 평가를 못 받았지만, 이제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상징이 되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에는 세종대왕을 비롯해 정인지와 성삼문, 박팽년 등 집현전 학사들의 글을 모두 들어 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크게 의편(例義篇)와 해례편(解例篇)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세종대왕께서 직접 쓴 예의편(例義篇)세종대왕께서 한글의 창제 목적과 한글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간략한 설명서입니다.

해례편(解例篇) 서문은 정인지가 지었으며 훈민정음, 곧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만든 창제 원리와 한글이 어떻게 쓰이는지에 대한 사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 글이며 훈민정음 창제 당시 참여했던 집현전 학사들이 쓴 글입니다.

 

 

세종대왕의 대표적인 업적인 훈민정음(한글)은 세종 25년(1443년) 12월 30일에 창제됐다는 기록이 <세종실록>에 등장합니다.

일반적으로 훈민정음 반포 시기를 세종 28년(서력 1446년)이라고 합니다.

 

 

훈민정음(한글)의 정확한 반포 날짜는 어디에도 기록되어 있지 않고 단지 실록에 '이달에'라는 기록만 있습니다.

10월 9일 현재의 한글날은 1940년 발견된 <훈민정음 해례본>의 '정통 11년 9월 상한'을 훈민정음 반포일로 추정하여 음력을 양력으로 계산하는 복잡한 과정 끝에 정해졌습니다. '정통 11년'은 명나라 6대 황제 정통제(正統帝, 재위 1435~1449)의 연호입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02권> 세종 25년 12월 30일 中 - 1443년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諺文) 28자(字)를 지었는데, 그 글자가 옛 전자(篆字)를 모방하고, 초성(初聲) 중성(中聲) 종성(終聲)으로 나누어 합한 연후에야 글자를 이루었다.

 

무릇 문자(文字)에 관한 것과 이어(俚語, 속된 말)에 관한 것을 모두 쓸 수 있고, 글자는 비록 간단하고 요약하지마는 전환(轉換)하는 것이 무궁하니, 이것을 훈민정음(訓民正音)이라고 일렀다.'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사들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전부터 많은 반대에 부딪혔습니다.

훈민정음 창제 반대파 중에 대표적인 인물이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입니다.

 

훈민정음 반포 2년 전 세종 26년(144년) 최만리가 훈민정음 창제를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기록이 있습니다.

최만리가 세종대왕께 상소할 때 훈민정음(한글)이 옛 글자를 본뜬 모방한 글자라는 내용이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03권> 세종 26년 2월 20일 中 -1444년

 

'우리 조선은 조종 때부터 내려오면서 지성스럽게 대국을 섬기어 한결같이 중화의 제도를 준행하였는데, 이제 글을 같이하고 법도를 같이하는 때를 당하여 언문을 창작하신 것은 보고 듣기에 놀라움이 있습니다.

 

설혹 말하기를 '언문은 모두 옛 글자를 본뜬 것이고 새로 된 글자가 아니라.' 하지만, 글자의 형상은 비록 옛날의 전문(篆文)을 모방하였을지라도 음을 쓰고 글자를 합하는 것은 모두 옛 것에 반대되니 실로 의거할 데가 없사옵니다.......'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13권> 세종 28년 9월 29일 中 - 1446년

(예조판서 정인지의 훈민정음 해례본 서문 中)

 

이달에 훈민정음이 이루어졌다......

'........ 계해년(세종 25년 1443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정음(正音) 28자를 처음으로 만들어 예의(例義)를 간략하게 들어 보이고 명칭을 훈민정음이라 하였다.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는 고전(古篆)을 모방하고, 소리에 인하여 음(音)은 칠조(七調, 궁상각치우 변치 변궁)에 합하여 삼극(三極, 천지인)의 뜻과 이기(二氣, 음양)의 정묘함이 구비 포괄(包括)되지 않은 것이 없어서, 28자로써 전환하여 다함이 없이간략하면서도 요령이 있고 자세하면서도 통달하게 되었다.

 

그런 까닭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이를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