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작과 출발점, 새 생명의 기운이 발동하는 일양 시생(一陽始生)의 동지(冬至)의 의미
기독교 최대의 명절 성스럽고 경건한 예수님 성탄절 크리스마스의 유래와 의미
근현대 들어 많이 퇴색했지만, 우리 선조들께서는 동지(冬至)는 일양(一陽)이 시생(始生) 하는 날이라 하여 정월 초하루 설날 다음으로 가장 큰 명절로 여겼고 그 의미도 컸습니다.
'작은 설'이라고도 불렸던 동지는 1896년 서양 양력을 공식 역법으로 반포한 후 20세기 들어 외래문화가 급속하게 들어왔고, 일제강점기와 근대사를 거치면서 '작은 설' 동지의 의미가 흐려져 가게 됩니다.
특히 기독교 예수님 성탄절이 된 크리스마스와 연말이 겹치면서 우리의 소중한 문화가 사라지고 동지(冬至)의 의미도 퇴색되어 버렸습니다.
이질적이면서도 동질적인 기독교와 이교도의 만남에서 출발한 기독교 크리스마스의 유래와 의미, 그리고 동양에서 새해의 시작으로 보는 동지의 의미는 관점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도 있지만, 동서양의 동지절(冬至節)은 몸과 마음을 경건하게 하고 새롭게 시작한다는 의미는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기독교 최대 명절 크리스마스로 알려진 기독교의 예수님 성탄절은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에서 유래한 로마의 태양신 축제일이었습니다. 기독교 성서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일, 크리스마스 성탄절에 정확하게 명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유럽을 제패한 로마제국이 기독교를 국가 공인 종교로 만들어 유럽 전역으로 전파되면서 기독교의 영향력은 커져갔고, 근대 이후 군사,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지구촌을 점령하다시피 한 서구 열강들에 의해 예수님 성탄절 크리스마스는 세계적인 축일이 되어 있습니다.
크리스마스의 유래는 로마의 태양신 축제일이며, 로마의 태양 축제일은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배화교(拜火敎)라고도 불리는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가 로마 군인들에 의해 급속하게 전파되면서 로마에 태양신을 숭배하는 미트라 신앙이 뿌리를 내렸습니다.
서양의 동지 절기(冬至節氣)라고 할 수 있는 예수님 성탄절 크리스마스의 유래는 '정복할 수 없는 태양의 생일', '무적의 태양신 탄생의 축일', '태양이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이라는 의미로 태양신 축제일, 곧 미트라 탄생일에서 유래했습니다.
기독교가 로마에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로마 미트라 신앙의 '태양신이 부활한 날'에서 크리스마스가 유래됐고, 예수님 성탄절이란 기독교적 종교 의미를 부여하면서 가장 성스럽고 경건한 기독교 최대의 명절로 자리 잡게 됐습니다.
크리스마스가 예수님 성탄절이란 기독교 최대의 명절로 자리 잡기까지는 예수님 사후 무려 3백여 년이란 시간이 지난 후입니다.
서력 313년 로마제국의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기독교를 공인하면서 기독교는 세력화됐고, 기독교만의 축일을 만들어 기념하기 시작했습니다.
기독교 예수님 성탄절 크리스마스가 그리스도의 탄생일로 기념하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것은 서력 337년부터 357까지 재위한 교황 율리우스 1세 때부터입니다. 그리고 서력의 기원이 되는 예수님의 탄생 연도는 예수님 성탄절이 지정되고 나서 약 200년이 지난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에 의해 서력기원, 즉 예수님의 탄생 연도가 정해졌습니다.
기독교에서 예수님 성탄절 크리스마스는 그리스도(Christ)와 미사(Mass)가 합성된 말로, '그리스도에게 바치는 예배'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고 합니다.
동지(冬至)는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면서 밤이 길이가 점차 짧아지기 시작하는 날입니다.
다시 말해 동지를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날로 태양이 부활하는 날입니다..
서양 크리스마스와 동양의 동지는 본질과 현상의 차이가 있지만, 그 의미는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양의 동짓날은 일양이 시생하는 날, 새해의 시작으로서 동짓날 자체의 본질적인 면에 큰 의미를 두고 있지만, 서양의 동지절 크리스마스는 새해의 시작이라는 의미보다는 죽은 태양이 부활한다는 날의 길이와 밤이 길이가 역전된다는 현실에 더 큰 의미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동양 문화에서 동지의 의미는 단순히 동지와 하지, 일 년에 두 번 낮과 밤의 길이가 역전하기 시작하는 전환점이라는 의미를 넘어, 한 해를 시작한다는 새로운 출발점의 의미를 두어 삼가고 경건한 마음으로 동짓날을 보냈습니다
한 해의 시작, 새로운 출발점으로 생각한 우리 선조들은 동지를 '작은 설'이라고 했듯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옛말이 전해져 내려온 것입니다.
동지(冬至)의 본질적인 의미는 새 희망의 밝은 기운, 천지(天地)의 새 생명 기운이 태동(胎動)한다는 일양시생지절(一陽始生之節)입니다.
밤이 가장 긴 날이면서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시작하는 동지(冬至)의 현실적 의미는 지난 한 해를 깊이 반성하고 다가오는 새해를 희망차게 맞이하는 위해 새 출발을 설계하고 다짐하는 데 있습니다.
새해의 시작인 동지(冬至)에 대한 의미를 생각하지도 못하고 있고, 크리스마스와 송년회 연말 분위기에 빠져 술 마시고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진 것이 현실입니다.
동지 때 부정한 몸과 마음으로 부정한 일을 하여 부정한 기운이 들어오면 한 해 동안 모든 일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습니다.
그것은 첫 단추를 잘못 끼우는 것과 같아서 동짓날은 1년 중 어느 날보다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고 경건하게 잘 보내야 합니다.
동지 때 팥죽을 먹는 이유도 새해 첫날 부정한 기운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선조의 소망이 담긴 문화입니다.
'세상은 개벽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예무역으로 세계최강 해군력을 만든 대영제국 (5) | 2019.01.12 |
---|---|
새해 일출 명소 울산 간절곶 해돋이 (6) | 2018.12.30 |
2018년 올해의 사자성어 임중도원 (3) | 2018.12.29 |
동북아역사재단의 동북아역사지도 (6) | 2018.10.21 |
교육부 산하 공공기관 동북아역사재단 (3) | 2018.10.20 |
세종대왕의 업적 훈민정음(한글) 창제 (4) | 2018.10.07 |
일본 군대 자위대의 '욱일기' '욱일승천기'는 전범기 (3) | 2018.10.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