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환단고기(한민족9천년 역사)

천부경(天符經)에 나타난 원방각(圓方角○□△)의 비밀

by 도생(道生) 2014. 1. 31.

천부경(天符經)에 나타난 원방각(圓方角,△)의 비밀

 

천부경은 하늘의 이치에 부합하는 글로써 천지(우주)의 본성과 변화이치, 인간의 삶의 의미에 대한 우리 한韓민족의 깨달음을 담고 있는 글이다.

동방문명 최초의 경전이며,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랫 동안 전해진 최고의 경전이다. 

 

 

 

 

천지인(하늘,땅,인간)은 원방각으로 만이 아니라 또한 1, 2, 3의 수數로도 나타난다.

한민족의 고유한 경전인 "천부경"에는 "천일일天一一 지일이地一二 인일삼人一三"이란 구절이 등장한다.

 

하늘의 이치에 부합되는 글이란 뜻을 가진 "천부경"은 모두 81자로 구성돼 있는데, 우주의 본성과 변화이치, 인간 삶의 의미에 대한 한민족의 깨달음을 담고 있다. 동방 최초의 경전으로도 꼽힌다.

 

천부경에서 인용한 "천일이 지일이 인일삼"에서 가운데 일一은 하늘, 땅, 인간이 한 근원에서 비롯됐으며, 셋은 하나라는 것을 뜻한다.

 

뒤에 붙는 "일一, 이二, 삼三"은 양陽을 대표하는 근본인 하늘이 먼저 나고(일一), 만물을 낳아주는 어머니 음陰인 땅이 다음에 나고(이二), 그리고 하늘, 땅의 교합에 의해 인간이 생겨났음(삼三)을 가리킨다.

하늘과 땅은 인간 안에서 그를 통해 조화되고 그 이상을 실현한다.

 

한편 인간과 더물어 만물이 생겨나니 인人은 곧 인물人物(인간과 만물)이며 셋은 여럿(다多)이다. 이는 1-(2)-3의 논리요 원방각의 사상이다.

그러므로 "천부경"일一에서 시작하여 삼三이 되고 삼三이 부풀어나 가득함(만萬)이 되고 다시 그 가득함이 일로 돌아가는 진리를 요체로 한다.

  

 

또 다른 맥락에도 원○, □, △은 숨어 있다.

"운삼사성환오칠運三四成環五七"이란 구절이다.

이에 대해서는, 특히 삼과 사, 오와 칠에 대해서는 여러 철학적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삼이 네 단계를 거쳐 원圓, 즉 우주의 고리를 이루며 오와 칠은 그 조화의 중심, 동력이란 뜻은 공통적일 것이다. 삼이 네 단계를 거쳐 원을 이루니 ○, □, △이다.  ○, □, △을 하나로 합하면?(○안에 □, △가 들어 있는 그림)이 된다.

 

또 다른 해석에 따르면, 삼일도라 불리는?(○안에 □, △가 들어 있는 그림)에서 오, 칠의 수도 발견 될 수 있다. 이 도상 안에 접점이 5개 있고 면이 7개 들어 있다는 것이다. ○안에 □, △가 들어가 있는 삼일도는 원 안에 3개의 삼각형이 원과 조화를 이뤄 움직이면 삼태극 모양이 된다.

 

큰 틀에서 보면 원, 방, 각은 "천부경" 자체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일시무시일一始無始一로 시작해서 일종무종일終無終一로 끝나는 "천부경"모두 81자니 가로 9자, 세로 9자로 배치하면 방(□)형을 이룬다. 또 일一자로 시작해서 일一로 돌아가는 순환을 이루니 원(○)이 들어있다. 여기에 그 순환의 중추를 이루는 논리가 1, 3 혹은 3, 1의 논리니 △의 요소가 또한 간직돼 있다.

 

 

"천부경"이 전하는 정신을 구체적으로 풀어놓은 윷에도 당연히 ○, □, △이 있다.

윷판은 4개의 삼각형이 원을 이루고 있는 형태다.

윷놀이는 원방각의 놀이, 천지인 삼재가 어우러진 "천지놀음"(증산도 도전道典 11:216:4)인 셈이다.

 

카톨릭의 성호가 갖는 상징성을 원, 방, 각으로 풀기도 한다. 이마와 가슴 양쪽으로 긋는 성호는 하늘, 땅, 이간을 상징한다는 것이다. 천天(성부)와 지地(성자)는 이마(天, ○)에서 가슴(地, □)으로 직선으로 연결되고 인人(성신)은 양쪽으로 그음으로써 △을 이루게 된다는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