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3758

현충사 이순신장군과 거북선(귀선) 성역화 된 현충사(顯忠祠), 충무공 이순신 장군과 거북선(귀선龜船) 충청도 아산의 현충사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을 모신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표적인 사당이다. 조선 19대 왕 숙종은 충청도 유생의 상소를 보고 충청도 아산에 이순신 장군의 사당을 세우게 하였고, 현충의 시호를 내려 현재의 현충사가 되었다. 현충사는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헐리면서 폐쇄되었고, 일제강점기였던 1932년 현충사가 중건됐다. 1952년 진해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세워졌고, 1966년부터 현충사 성역화 사업이 시작되었다. 1968년 광화문에 이순신 장군 동상이 세워졌고, 이순신 장군의 출생한 날이 1973년 충무공 탄신일 법정기념일로 지정됐다. 거북선(귀선龜船)은 고려 때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나 실물은 없고 입에서 입으로 구전.. 2017. 1. 17.
서애 유성룡 임진왜란 7년 기록 징비록 동인과 남인의 영수 유성룡과 임진왜란 7년의 기록 징비록(懲毖錄) 서애 유성룡(1542~1607)은 퇴계 이황(1502~1570)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575년(선조 8) 사림 세력이 동서로 분당 할 때 퇴계 이황(남명 조식) 계열은 동인(東人)이 되고, 율곡 이이(우계 성혼)의 계열은 서인(西人)이 되었다. 사림 세력은 정치적으로는 동인과 서인, 학문적으로는 퇴계 이황의 영남학파와 율곡 이이의 기호학파로 나뉘었다. 서애 유성룡은 1542년(중종 37) 아버지 유중영과 어머니 안동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퇴계 이황의 문하에서 공부하였고, 1564년(명종 19) 생원시와 진사시에 급제하여 성균관에 들어갔고, 1566년(명종 21) 별시에 각각 급제하여 조정에 출사하였다. 정언, 병조좌랑, 부교리에.. 2017. 1. 16.
사미인곡 관동별곡 송강 정철 서인(西人)의 영수 송강 정철 관동별곡(關東別曲), 사미인곡(思美人曲), 훈민가(訓民歌) 송강 정철(1536~1594)은 사림세력이 본격적으로 정치의 주도세력으로 나선 선조 재위 때 왕성하게 활동했던 정치가이며 학자다. 조선 가사문학의 대가로 칭송받는 송강 정철은 관동별곡, 사미인곡, 훈민가, 성산별곡 등 많은 가사 작품을 남겼다. 송강 정철은 종5품의 돈녕부판관을 지낸 아버지 정유침과 어머니 죽산 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송강 정철은 큰 누이가 조선 9대 왕 인종의 후궁으로 들어갔다. 작은 누이는 성종의 셋째 아들 계성군의 양자로 들어간 계림군의 부인이 되었다. 한양에서 나고 자란 정철은 누이 때문에 어려서 궁 출입이 잦았고 당시 봉림대군(명종, 1534~1567))과 친밀하게 지냈다. 명종이 즉위하고.. 2017. 1. 15.
신사임당과 허난설헌 조선의 학자에 의해 추앙받는 인물이 된 신사임당 신인선과 조선을 넘어 중국과 일본에까지 널리 알려진 허난설헌 허초희 신사임당(1504~1551)과 허난설헌(1563~1589)은 모두 조선 중기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난 반가의 여인이다. 16세기 조선의 대학자 율곡 이이(1536~1584)의 어머니 신사임당과 만고역적이 된 허균(1569~1618)의 누이 허난설헌의 삶은 비슷하면서도 극명하게 대비된다. 율곡 이이와 신사임당 모자(母子), 허균과 허난설헌 남매(男妹)는 그 사람들의 자질과 인품 등 각자가 가지고 있던 역량과 당대와 후대에 정치적, 학문적 영향으로 추앙의 대상 또는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서인의 종주로 많은 후학을 길러 낸 율곡 이이는 어머니 신사임당과 함께 500년 동안 한국을 빛낸 위인으로 .. 2017. 1. 14.
퇴계 이황 위기지학과 율곡 이이 위인지학 조선의 성리학자이며 정치가 동인(남인과 북인)의 종주 퇴계(退溪) 이황의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서인(노론과 소론)의 종주 율곡(栗谷) 이이의 위인지학(爲人之學) 퇴계 이황(1501~1570)과 율곡 이이(1537~1584)를 조선 성리학의 거두(巨頭)라 말한다. 두 사람의 학문적 업적과 정치적 영향력은 대단하였다. 사림세력의 학문(사상)은 정치 세력과 연결되어 있었다. 혹자는 공자의 말씀을 빌려서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를 두고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우인지학(爲人之學)으로 구분한다. 퇴계와 율곡도 뛰어난 학자였지만, 학문적으로 두 사람에 버금가는 성리학자도 있었다. 이황과 이이, 그리고 그들의 후학들이 정치적, 학문적으로 조선 중후기를 좌지우지하며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조선 성리학에서 가장 대표적인 학자로.. 2017. 1. 13.
조선시대 훈구파(공신) 사림파(유림 선비) 조선 시대 정치권력의 대립 훈구파(공신세력)와 사림파(유림儒林, 선비세력) 조선왕조시대 국가를 움직였던 양대세력으로 공신세력 훈구파와 유림(儒林), 즉 선비세력 사림파로 구분한다. 태조 이성계의 조선 창업에 이바지한 유림(儒林)의 학자와 무장(武將)이 훈구공신이 되었다. 훈구(勳舊)는 말 그대로 오랫동안 국가와 임금을 위하여 공(功)을 세운 사람 훈구공신(勳舊功臣) 또는 훈구대신(勳舊大臣)이라 한다. 사림(士林)은 유림(儒林)이라고도 하며, 선비세력을 말한다. 조선 건국 이후 이방원의 1, 2차 왕자의 난에서 활약한 인물도 공신첩이 주어졌다. 조선 3대 왕 태종은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공신을 어느 정도 정리해서 세종에게 왕위를 넘겨주었다. 세종 때까지도 훈구공신이 활동하였으며, 조선 건국 이후 유림의 선.. 2017. 1. 12.
세종대왕 업적 민본 애민 위민정치 위대한 성군(聖君) 세종대왕의 업적 - 민본(民本) 애민(愛民) 위민(爲民)의 사상과 정신과 정치 세종대왕은 정조대왕과 함께 조선왕조에서 가장 위대한 임금이며, 가장 많은 업적을 이룬 임금이다. 태종 이방원은 세종대왕이 훈구세력과 외척세력에 휘둘리지 않도록 강력한 왕권으로 탄탄하게 다져놓은 기반 위에서 애민과 위민의 정치를 할 수 있었다. 비록 아버지 태종 이방원이 태평성대의 기반 확립해 주기도 했지만, 세종대왕은 남달랐다. 세종대왕은 태평성대를 열어가는 임금이 갖추어야 할 덕목인 탁월한 안목, 뛰어난 지혜와 놀라운 지도력을 발휘하여 이상적인 왕도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했다. 세종대왕은 민본사상을 바탕에 두고 임금으로서 인(仁)과 덕(德)을 갖추고, 나라의 근본이 되는 백성을 위해 애민정신과 위민정신으.. 2017. 1. 11.
세종대왕 집현전 학사 성삼문과 신숙주 세종대왕이 확대 개편한 조선의 최고 인재집단 집현전 학사 충절자(忠節者)와 변절자(變節者)의 대명사가 된 성삼문과 신숙주 주군(主君)에 대한 충성(忠成)과 절의(節義)의 대명사가 된 매죽헌(梅竹軒) 성삼문(1418~1456), 주군에 대한 충절(忠節)을 배신한 변절자의 대명사가 된 희현당(希賢堂) 신숙주(1417~1475)는 세종대왕 국가와 백성을 위해 확대 개편한 조선 최고의 인재집단 집현전에서 함께 지낸 절친한 벗이며 동지였다. 매죽헌 성삼문과 희현당 신숙주는 어려서부터 총명하였다고 전한다. 매죽헌 성삼문은 1435(세종 17)년 식년시(式年試, 생원시)) 정과에 합격하였고, 1447년(세종 29) 중시(重試, 승진 시험) 을과에서 장원하였다. 희현당 신숙주는 1438년(세종 20년) 진사시에 장원으.. 2017. 1. 10.
세종대왕의 종묘제례악과 아악 박연 세종대왕의 종묘제례악과 3대 악성(樂聖) 아악(雅樂)의 난계(蘭溪) 박연(朴堧) 조선왕조에서 위대한 성군으로 추앙받는 세종대왕은 하늘이 낸 임금인지 주변에는 학문, 천문, 기술, 군사,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출중한 능력을 지닌 인재가 넘쳐났다. 세종대왕은 문화정책의 근간으로 예악(禮樂)의 기틀을 세웠고, 예악을 통해 백성을 교화하는 한편 통치철학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예악 정형(禮樂政刑)은 국가(정치 사회 경제 문화 등) 경영이론으로 예악을 바탕으로 정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지금도 종묘에서 연주되는 종묘제례악은 세종대왕이 만든 음악이다. 하늘의 도(道, 천도天道)는 사람(인도人道)에 의해 세상의 문화로 드러난다. 유도(儒道, 유교)는 하늘(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근거와 천도(天道)를 밝히는 수.. 2017. 1. 9.
세종대왕 용비어천가 조선왕조 최초의 국문(國文) 시가(詩歌) 세종대왕과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태조 이성계가 창업한 조선왕조 27명의 임금 중 세종대왕은 가장 위대한 성군이라는데 반론을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 세종대왕은 위대한 성군으로 손꼽히는 이유는 훈민정음을 반포하여 백성에게 글을 알 수 있게 한 것 때문만은 아니다. 국방, 과학, 문화, 사회, 경제, 농경 등 가장 하층계급이었던 노비에서부터 일인지하 만인지상의 정승에 이르기까지 조선의 모든 백성을 위해 국정을 운영했기 때문이다.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는 세종대왕의 명으로 1442년(세종 24)부터 1445년까지 3년에 걸쳐 만들어졌다. 1446년 반포된 훈민정음의 실용성과 조선왕조의 정통성을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세종대왕은 용비어천가를 신하들이 지어 올리게.. 2017.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