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42회 임나 4촌의 위치는 어디인가?>
신라 21대 임금 지증왕 때 우산국(울릉도)을 복속시키고,
23대 진흥왕 때 '고령 대가야를 정복?'했다는 이사부 장군


일제 식민사학자와 식민사학을 추종하는 한국의 주류 역사학자들은 '일본서기'에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기록을 억지로 맞추려고만 합니다. 또한 '임나는 곧 가야'라고 일관되게 주장합니다. '일본서기'의 내용은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등 우리 역사를 기록한 사료와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합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김수로왕이 건국한 가야의 건국 연도를 정확하게 서기 42년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일본서기'에는 서기 42년 가야 건국 내용이 없고, 가야가 건국되기 70여 년 전인 서기전 33년에 '임나'가 존재한 것으로 나옵니다. 또한 가야가 멸망했다는 562년 이후 '임나'에 대한 기록이 645년까지 등장합니다.


<삼국사기>의 '신라본기 제4 진흥왕 23(562)년조'에는 ''가야(加耶)가 반란을 일으켰다."라고 쓰여있습니다. <삼국사기>의 '열전4 - 사다함조'에는 "진흥왕이 이찬 이사부에게 명하여 가라국(加羅國, 가야국)을 공격하게 하였다."라고 쓰여있습니다. 이사부 장군이 '고령 대가야'를 정복했다는 내용은 <삼국사기> 어디에도 없습니다.
이사부 장군은 21대 지증왕(재위 500~514), 22대 법흥왕(재의 514~540), 23대 진흥왕(재위 540~576) 때 활약한 무장(武將)입니다. 지증왕 13(512)년 우산국(울릉도)을 복속시킨 이사부 장군은 '일본서기'에서 '이질부례지간기'로 등장합니다. '일본서기'의 '계천기 23(529)년조'에 신라 이사부 장군이 3,000명을 이끌고 4촌을 공격했다고 나옵니다.


한국 주류 역사학계는 임나 4촌의 위치를 한반도 남부의 김해, 다대포, 웅천 인근 지역이라고 주장합니다. '일본서기'의 '계체천황 23(529)년'에 2번, '민달천황 4(575)년'과 '추고천황 8(600)년'에 각 1번씩 '다다라, 수나라, 화다(위타), 비지(발귀, 불지귀)'라고 임나 4촌 중 두 곳만 다르거나 같은 지명으로 반복해서 등장합니다. 신라 법흥왕 17(529)년 이사부 장군이 정벌한 임나 4촌의 정확한 위치는 일본의 규슈 북부입니다.
신라 지증왕의 명을 받아 우산국(울릉도)을 복속시키고, 529년 법흥왕의 명을 받아 임나 4촌을 정벌하고, 562년 진흥왕의 명을 받아 가락국(가야)을 공격했습니다. 한국 역사학계는 '일본서기'의 '흠명 23년(562)조'에 "신라가 임나 관가를 공격해서 멸망시켰다."라는 내용을 빌미로 '가야=임나'라고 주장하는 데, 멸망한 나라 기록이 일본서기에 계속 등장합니다.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42회 임나 4촌의 위치는 어디인가?>
신라 21대 임금 지증왕 때 우산국(울릉도)을 복속(復屬)시키고,
23대 진흥왕 때 '고령 대가야?'를 정복했다는 17대 내물왕의 4대손 이사부 장군
https://www.youtube.com/watch?v=-qpyKUl1m_g

'환단고기(한민족9천년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군세기 태백일사 삼국유사 제왕운기 필원잡기 응제시주 성호사설 세종실록지리지 승정원일기의 기록 (42) | 2025.03.21 |
---|---|
시천주의 동학 수운 최제우 사인여천의 2대 해월 최시형 인내천의 천도교 3대 의암 손병희 (43) | 2025.03.20 |
이토 히로부미부터 아베 노부유키까지 일제 조선 통감과 총독 역사와 문화 말살정책 (39) | 2025.03.19 |
강력한 왕권을 확립한 대륙백제 양직공도와 잊혀진 땅 백제 22담로의 비밀 (35) | 2025.03.15 |
신라 법흥왕과 고대 한반도 남부의 금관 아라 고령 대가야 성산 소가야 6가야 (42) | 2025.03.14 |
대마도 쓰시마섬은 임나다 일본서기를 동양 최고의 역사서로 인식하는 한국 역사학계 (41) | 2025.03.13 |
세종대왕 북방 여진족 정벌로 4군 6진 개척 한반도 압록강과 두만강 국경선 확정 (51) | 2025.03.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