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은 개벽중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와 장생탄광(2)

by 도생(道生) 2017. 7. 23.

일제강점기 해저탄광 갱도붕괴로 바다 밑에 수장(水葬)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와 장생탄광(長生炭鑛) - (2)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강제징용으로 끌려온 조선인 노무자가 석탄 채굴작업을 한 장생탄광은 해저탄광으로 당시 여느 탄광처럼 비좁고 두웠으며, 높은 습도와 고온의 열기 속에 속옷(훈도시)만 걸친 채 석탄 채굴 작업을 했다.  

 

일제강점기 일본에 의해 끌려간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작업 현장은 지역을 불문하고 생지옥이었다.

 

 

 

장생탄광에서 일한 대부분의 조선인 노무자는 강제징용으로 끌려온 사람들이었고, 돈을 벌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왔다 장생탄광에서 일한 조선인도 일부 있었다. 일본인과 조선인 등 1천 명 남짓 일하던 장생탄광에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높은 울타리로 둘러싸인 숙소에서 너덧 평 되는 방 한 칸에 근 20명씩 합숙시켰다.

 

조선인 노무자 숙소는 일본의 철저한 감시와 통제를 받았고 탈출도 힘들었지만, 도망가다 붙잡히면 죽지 않을 정도로 폭행을 당했고 하루 12시간 이상의 혹독한 노동에 시달렸다.

 

 

 

 

 

 

 

 

 

 

 

 

육상탄광과 해저탄광은 언제든지 붕괴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작업을 해야 하는 곳이다.

장생탄광은 해저탄광으로 수압 때문에 갱도가 붕괴할 수 있는 또 다른 위험을 안고 채굴작업을 해야 했다.

 

장생탄광은 길이가 10여 km 되는 긴 갱도가 바다 밑으로 뚫려있었다.

183명의 바다 밑에 수장된 것으로 추정되는 장생탄광 수몰 사고에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 2명이 기적적으로 살아남았다.

 

 

 

생존자의 증언에 의하면 장생탄광은 붕괴하기 몇 달 전부터 바닷물이 유입됐고, 며칠 전부터는 바닷물 유입이 급격히 늘어났다고 한다. 장생탄광에 다량의 바닷물이 유입되면서 붕괴 위험이 커졌지만, 일본인 감독은 석탄 생산량 목표달성에 급급한 나머지 조선인 강제징용 노무자들을 재촉하며 채굴작업을 강행했다.

 

 

 

 

 

 

 

 

 

 

 

 

장생탄광 수몰 사고는 당시 일본이 태평양전쟁 중이라 언론보도도 제대로 되지 않았고, 고의적으로 사고를 감추면서 일본 사회에 알려지지 않았다. 일본은 이전에도 수차례의 탄광 매몰 사고가 발생하여 수백 명이 목숨을 잃는 일이 있었기 때문에 180여 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사건을 그냥 묻혀버렸다.

 

 

 

일제강점기 해저탄광에서 목숨을 잃은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장생탄광 수몰 사건의 역사의 실체가 알려진 것은 우베 지역의 일본인 향토사학자가 1976년 장생탄광 수몰 사고 논문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이후 일본 시민단체까지 나서면서 장생탄광 수몰 사고로 숨진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를 위한 추모비 건립 운동이 시작됐다.

 

 

 

 

 

 

 

 

 

 

 

 

장생탄광 수몰 사고로 희생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 숫자는 일본의 공식적인 발표에 의하면 총 사망자 183명(일본인 47명 조선인 136명)이다.

 

그런데 당시 사고현장에서 살아남은 조선인 생존자와 채굴 작업을 마친 조선인 노무자의 증언에 의하면 평상시에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 200여 명 이상이 장생탄광에서 석탄 채굴작업을 하고 있었다고 증언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 136명이 희생된 장생탄광 수몰 사고는 단순히 높은 수압에 의해 해저탄광 갱도가 무너진 사고가 아니다.

 

지하 25m 내외로 파고들어 간 장생탄광 해저갱도는 지나가는 배의 엔진 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거리인 바닷물과 불과 5m 내외까지 갱도를 확장하고, 해저갱도의 버팀목(동바리)을 부실하게 설치하면서 일어난 인재다.

 

 

 

 

 

 

 

 

 

 

 

 

태평양전쟁에 미쳐 날뛴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전쟁의 소모품으로 사용되다가 1942년 2월 3일 9시를 조금 넘긴 시간에 바다 위로 솟은 두 개의 환기구에 물이 솟구치는가 싶더니 순식간에 갱도가 수몰되면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이 수장됐다. 

 

일제강점기 장생탄광에 끌려온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바닷물이 들어오는 해저탄광에서 언제 붕괴할지 모르는 죽음의 공포에 안고 혹독한 노역에 시달리다 비참하게 죽어갔다.

 

 

 

장생탄광은 10여 km의 해저갱도에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해 바다 위로 두 개의 환기구를 만들었다.

장생탄광 수몰 사고가 발생한 지 70여 년이 세월이 흘렀지만, 당시 환기구 역할을 하던 바다 위 콘크리트 원통 기둥은 세월의 흔적은 남았지만, 아직도 그대로 남아있다.

 

바다 밑 해저탄광에서 일본인의 차별과 모욕, 폭행과 극심한 노동에 시달리던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자들은 아직도 차갑고 어두운 바다 밑에 그대로 묻혀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