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고시대 도술(天干地支)로 보는 한민족의 옛 제국 천도(遷都, 수도 이전)의 의미
태고시대 도술(천간지지天干地支)로 보는 한민족의 옛 제국 천도(遷都, 수도 이전)의 의미 우리 선조들이 새로운 나라를 건국하시고 나라의 이름을 정하실 때나, 새 도읍을 정하시는 것은 역사의 전개에 따라 진행된 것이지만, 하늘의 섭리(천도天道)가 같이 맞물려서 그 의미를 더하게 된다. 우리 선조들이 새로운 도읍을 정하신 해(年)를 다소 난해한 내용이지만 하늘의 이치, 동양의 우주론과 함께 살펴 본다. (송호국님의 기고문 中) 우리 민족이 나라의 도성(都城)을 옮긴 것도 모두가 태고 시대의 도술(천간지지天干地支)에 따른 것이다. 도성(都城)은 지지(地支)의 토(土)와 깊은 관련이 있다. 무릇 토(土)의 지지는 '진辰, 술戌, 축丑, 미未'가 있으니, 이중에서도 '축토(丑土)'를 제외한 진토(辰土), 술토(戌..
2014. 10. 15.
환단고기에 기록된 한민족의 옛 제국(帝國)의 천도(遷都, 수도 이전) 역사
환단고기에 기록된 한민족의 옛 제국(帝國)의 천도(遷都, 수도 이전) 역사 환단고기에 천도(遷都)한 해(年)가 기록된 한민족 옛 제국의 천도사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한민족 옛 제국의 천도遷都사 임술년 (환국, 안파견 환인천제, 천산) → 계해년 (배달, 거발환 환웅천황, 신시) → 무진년 (조선, 왕검, 아사달) → 을미년 (조선, 색블루 단군, 백악산아사달) → 병진년 (조선(대부여), 구물 단군, 장당경) → 임술년 (북부여, 해모수 단군, 난빈, 백악산) → 을미년 (북부여(동명국), 고두막 단군(동명성왕), 홀본) → 을미년 (고구려, 고주몽 성제, 눌현) → 임술년 (고구려 유리명제, 국내성) → 무진년 (대진국(후고구려, 발해), 대중상 → 정축년 (대진국(발해), 대흠무, 상경용천부)..
2014. 10. 14.
한류韓流가 뜨는 천도의 섭리, 배달 겨례의 혼魂 부활하는 한국 혼魂을 느껴보라! (2)
한류韓流가 뜨는 천도天道의 섭리, 배달 겨레의 혼婚 부활하는 한국 혼魂을 느껴보라! - (2) 인류문화의 뿌리 신교(神敎)는 우리 민족의 혼魂이며 정체성이다. 동이東夷족, 배달倍達의 민족, 한韓민족, 대한민국大韓民國의 정체성(正體性)과 한류 우리 역사의 혼魂은 무엇인가? 배달의 겨레가 약 6,000년을 이어올 수 있었던 핵심에는 우주의 주재자를 모셨다는 사실이 숨어 있다. 민심은 곧 천심이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이것은 왕도정치의 철학이다. 이 나라 이 겨레가, 반만년 역사의 태평성대를 일궈올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왕과 백성의 관계를 옳게 본 데 있는 것이 아니다. 우리 민족은 중국식의 왕도정치와는 또 다르게, 하늘과 땅에 대한 경외심을 바탕으로 천지인 삼계의 주재자를 모셔왔기 때문에, 하늘과 땅..
2014. 10. 12.
한민족의 고유 사상인 '한'을 통해 고찰한 『한사상』 과『 한철학』 - 김상일 前 한신대 교수
한민족의 고유 사상인 '한'을 통해 고찰한 『 한사상 』과,『 한철학 』 김상일 전 한신대 교수 한사상의 '한'은 '한국', '한겨레', '한글', '하느님', '한얼' 할 때의 한으로서(韓, 桓, 汗, 恨, 咸, 丸 등으로 표기 가능) 국가, 민족, 사상, 생활 전반에 걸쳐 우리의 정체성(正體性, Identity)를 규정할 때 쓰인 말이다. 한사상의 철학적 측면에서 '한'의 중요한 의미로는 1 하나(one), 2 많음(Many), 3 같음(Same), 4 가운데(Middle) 5 얼마 대략(About) 등이 있고 이 밖에도 무려 22가지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One/Many의 문제는 '일자一者'와 '다자多者'의 문제로 유교, 불교, 서양철학에서 풀려고 하는 숙원의 문제이다. 이는 보편과 특수..
2014.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