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광명의 빛꽃을 온몸에 가득 채워
병든 몸과 마음을 자가치유하는
선정화 명상 수행을 알려드립니다.
증산도 진리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4585

성공한 경영의 대가 - 노블레스 오블리주 모델, 여성 최고경영자(CEO) 김만덕 성공한 경영의 대가 - 노블레스 오블리주 모델, 여성 최고경영자(CEO) 김만덕 제주도 상인들이 육지에서 사들인 상품 중에는 소금이 포함되어 있었다. 4면이 바다인 제주도에서 소금을 왜 구입했을까 하는 의문이들지 모르겠으나, 하지만 제주도에는 바닷가에 암초가 많고, 또한 폭이 좁아 좁아 물살이 세게 흐르는 여울이 많아서 소금이 많지 않다. 또 바닷물을 끓이려면 가마솥이 필요한데, 제주에는 무쇠가 나지 않아서 가마솥을 구하기 힘들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소금을 매입하여 판매를 하였다. 추자도를 거점으로 전라도와 무역을 한 점이라든지 구입하는 상품 목록 같은 것들은 김만덕 상단이나 다른 상단이나 별로 다르지 않았다. 하지만 김만덕 상단에는 남다른 경영전략이 있었다. 「만덕전」에서 그는 재산을 늘리는 데 재.. 2014. 8. 24.
기부천사 - 조선 최초의 여성 CEO 김만덕(金萬德) 기부천사 - 조선 최초의 여성 CEO 김만덕(金萬德) 김만덕1739-1812), 본관은 김해이며, 조선시대의 상인이다. 양인인 아버지 김응열과 어머니 고씨 사이에서 2남 1녀 중에 막내로 태어났다. 제주도에 흉년으로 곡식이 모자라 많은 제주도의 백성들이 굶주리게 되자, 전재산을 풀어 육지에서 사온 쌀을 모두 제주도 백성들을 위해 기부하였다. 굶주림으로 죽음 직전에 이른 제주도 백성들을 구제하였던 것이다.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제주 사람들을 위해 내놓은 기부천사 김만덕! 이 때문에 김만덕은 '의녀(義女)'로 기억되고 있다. 그리고 제주도에서는 지금도 '만덕할망'이라고 전해지고 잇다. 뭍으로 장사를 다니던 부친 김응렬이 풍랑으로 사망했을 때 김만덕의 나이는 불과 10살 남짓이었다. 이때의 충격으로 몸져누었.. 2014. 8. 23.
증산도 본부에 모셔진 국조(國祖) 단군성조의 어진과 우리나라 왕들의 어진(御眞) 증산도 본부에 모셔진 국조(國祖) 단군성조의 어진과 우리나라 왕들의 어진(御眞) (정산 채용신 화백이 그린 광무제(고종) 어진)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조선시대 어진들은 국보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가장 최근에 그려진 어진으로 대한제국 광무제(고종은 일제강점기 때 올려진 시호로 당시 연호를 사용한 광무제라는 호칭이 더 적합하다)의 어진을 볼 수 있다. 당대 최고의 궁중화가로 손꼽히는 정산(定山) 채용신(1848-1941, 배우 채시라의 5대 조부)이 그린 것으로 천자(天子, 황제)를 상징하는 황색 곤룡포를 입고 있다. 사실적인 얼굴 묘사와 가슴 위로 높이 올려진 옥대(玉帶), 큰 호패와 술, 수직으로 선 모양의 돗자리 등은 채용신 초상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한다. 채용신은 사진을 이용해 초상화를 그리는.. 2014. 8. 22.
한류 문화의 원동력 한민족의 신명(神明) 기운 - 세계가 감탄한 한국의 신기(神氣) 한류 문화의 원동력 한민족의 신명(神明) 기운 세계가 감탄한 한국의 신기(神氣) (소나무, 이화여대 한국학 최준식 교수) 세계인을 열광시키고 있는 한류의 원동력은 무엇일까? 저자는 한국인의 '신기(神氣)' 때문이라고 말한다. 상층 문화의 원리인 '문기(文氣)'로 우리 조상들의 수준 높은 문화의식을 설명한 최준식 교수(이화여대 한국학)가 기층문화의 원리인 '신기(神氣)'로 우리 조상들의 역동적인 기운을 해석하고 한류의 근원을 추적한 책이다. 그리고 기성종교에 의해 미신으로 폄하된 무교(巫敎)에 주목하고, 무교가 바로 신기(神氣)의 근간이라고 해석한다. 무교에 근간을 둔 신기가 대중가요, 드라마, 영화, 인터넷 게임 등 문화를 통해 발현되고 있다는 것이다. 최준식 교수는 한국문화가 '문기(文氣)'와 '신기(.. 2014. 8. 21.
왕실의 천지제사 - 국가 존립의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왕권 계승의 핵심 요소다. 왕실의 천지제사 국가 존립의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왕권 계승의 핵심 요소다. (돌베개, 김문식 박례경 송지원 김지영 심승구 외) 현재 우리나라의 역사 사료가 가장 많이 남아 있는 조선시대 조선시대 왕실에서 하늘과 땅에 지냈던 제사의례를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제1부. 환구제, 천신을 위한 제례 환구제의 연원과 역사를 시작으로 고대의 제천례와 조선시대 제천례에 관해 말하고 있으며, 제2부. 사직제, 국토와 오곡의 신을 위한 제례 사직제의 연원과 의미, 중국과 고대, 그리고 고려와 조선의 사직제를 다루고 있다. 제3부. 선농제(선잠제), 농사와 양잠의 신을 위한 제례 선농제의 유래와 의미, 농경사회였던 한반도의 고대 선농제와 조선조에 이르는 선농제 문화를 들여다 본다. 환구제, 사직제, 선농제의 복원 현황.. 2014. 8. 20.
STB 상생방송 - 세상을 바꾼 리더십 <인종갈등을 종결시킨 화합의 지도자, 넬슨 만델라> STB 상생방송 【 세상을 바꾼 리더십 】 『 인종갈등을 종결시킨 화합의 지도자, 넬슨 만델라 』 1995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럭비 월드컵 결승전 경기가 열렸다. 남아공에서 럭비는 백인 우월주의의 상징이었다. 넬슨 만델라 남아공 대통령은 럭비 대표팀 경기복을 입고 경기장에 들어섰다. 수많은 관객들은 박수와 환호로 답을 했다. 강호 뉴질랜드를 꺽고 남아공은 우승을 했다. 눈길을 마주치기 조차 꺼리던 흑인과 백인이 인종을 뛰어넘어 처음으로 화합을 이루었다. 스포츠가 가진 힘 넘어에는 평화와 화합이라는 신념을 지켜온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 만델라 대통령이 있었다. 백인 정부를 전복 시키기 위해 조직활동을 한 혐의로 1964년 46세 넬슨 만델라 종신형 선고 남아공 인구의 16%인 백인이 300년 .. 2014. 8. 19.
세상을 보는 창! STB 상생방송 : 2014년 8월 4주차, 주간 TV방송편성표 세상을 보는 창! STB 상생방송 - 2014년 8월 4주차 주간 TV방송편성표 2014년 8월 18일 - 2014년 8월 24일 상생의 새 시대, 지구촌 인류가 하나되어 더불어 살아가는 신(新) 문명의 비전(vision)을 제시하는 한(韓)문화 중심채널 STB 상생방송 STB 상생방송은 한(韓)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찾는 한(韓)문화 중심채널입니다. STB 상생방송은 지구촌 인류의 꿈과 희망을 담아 상생(相生)의 새 문화를 여는 상생채널입니다. STB 상생방송은 고품격 교양과 지식정보를 제공하는 공익채널입니다. 눈은 눈을 바라볼 수 없습니다. 그러나 상생방송은 세상을 봅니다. 나를 보는 '창' 역사를 보는 '창' 미래를 보는 '창' 진리를 보는 '창' 대자연을 보는 '창' 세상을 보는 '눈' 상생의 새 .. 2014. 8. 18.
철학으로 거듭나는 성부 하느님 (4) - 메시아(구세주) 사상과 초월적 유일신, 그리고 로고스(Logos) 철학으로 거듭나는 성부 하느님 (4) 메시아(구세주) 사상과 초월적 유일신, 그리고 로고스(Logos) (상생문화연구소 문계석 서양철학박사) 철학으로 거듭나는 성부 하느님 마케도니아 알렉산더(기원전 356-323) 대왕의 대제국 건설과 더불어 동방세계의 헬렌화(hellenization)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기원전 300년 경부터 유대교의 랍비들은 구약을 작성하기 시작했는데, 구약이 쓰여지기 시작하던 당시 헬렌화로 인하여 유대교에는 전혀 없었던 새로운 내세관과 영혼불멸 사상이 생겨나게 됐다. 또한 사후 보상과 심판에 관한 조로아스터교의 영향으로 생겨난 종말론이 유대교에 유행하기도 하였다. 할렌화의 과정에서 예루살렘 성전은 이방 종교에게 빼앗겼던 적도 있다. 유대인들은 예루살렘에서 그리스의 제우스를 숭배하.. 2014. 8. 17.
철학으로 바라보는 구약의 성부 하느님(3) - 유일신 야훼 하느님 신앙의 정립 철학으로 바라보는 구약의 성부 하느님(3) 유일신 야훼 하느님 정립 (상생문화연구소 문계석 서양철학박사) 유일신 야훼 하느님 신앙의 정립 배경 이스라엘이 왕국의 면모를 갖추고 통치되었을 때도 가나안 땅에는 다양한 종교집단들이 있엇다. 그들 중에 나사렛(Nazarites)이라 불려진 무리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철저하게 신에게 자신을 봉헌했던 경건한 사람들이었고, 예언적인 사람들이었다. 기원전 8-7세기경에는 특별히 주목할 만한 예언적인 종교 지도자들이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주목할 만한 것은 북쪽 지방에 자리 잡은 이스라엘과 남쪽 지방에 자리 잡은 유다 사이에 계급간의 갈등이 약화되면서 나사렛교도의 예언자들은 대중의 불만을 대변하였으며, 또한 민족 신 야훼 예배를 재정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고, 가나.. 2014. 8. 16.
철학으로 바라보는 구약의 성부 하느님(2) : 유대인이 선택한 전쟁의 신(神), 야훼 - 출애굽의 민족신 야훼 철학으로 바라보는 구약의 성부 하느님(2) 유대인이 선택한 전쟁의 신(神), 야훼 출애굽의 민족신 야훼 (상생문화연구소 문계석 서양철학박사) 유대인이 선택한 전쟁의 신(神), 야훼 출애굽의 민족신 야훼 기원전 1300-1250년경에 모세는 이스라엘인들을 사막을 건너서 시나이반도로 인도한다. 모세는 거기에서 유대 유목민의 신 야훼(Yahweh:처음에는 YHWH란 이름을 가진 신神을 부복의 신으로택했으나 후에 야훼로 발음되고, 나중에 여호아Jehovah로 바뀐다)로부터 십계명을 받는다. "너희 하나님은 나 야훼다. 바로 내가 너희를 이집트 땅 종살이하던 집에서 이끌어 낸 하나님이다. 나 이외의 다른 신을 섬기지 마라."(신명기 5-6) 이스라엘인들은 율법을 받은 후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향했다. 가나안 땅은.. 2014.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