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광명의 빛꽃을 온몸에 가득 채워
병든 몸과 마음을 자가치유하는
선정화 명상 수행을 알려드립니다.
증산도 진리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본문 바로가기

세상은 개벽중610

북한의 비대칭전력 핵미사일 EMP 폭탄 공격 북한의 비대칭전력, 생화학무기와 가공할만한 위력을 가진 핵탄두를 탑재한 핵미사일 EMP 폭탄 공격 한반도 비핵화를 대전제로 개최된 남북 정상회담과 앞으로 열릴 북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이 선결 조건으로 내세운 것은 체재보장입니다. 북한이 그동안 대한민국과 미국을 상대로 핵무기와 핵탄두를 탑재한 핵미사일 발사를 언급한 것은 체제 안전을 보장받기 위한 위협용이라는 것은 중론입니다. 체제 보장을 원하는 북한의 입장을 보면 전쟁을 일으킬 마음도 없고, 지구촌 4대 강국이 첨예하게 대치하고 있는 한반도에서 전쟁을 벌일 수 없는 상황입니다. 재래식무기 분야에서는 대한민국이 북한에 앞서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대칭 전력에서는 북한이 대한민국에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비대칭 전력은 핵무기,.. 2018. 5. 20.
전자기펄스 EMP 폭탄 효과 블랙아웃 현상 고출력 전자기파를 발생시키는 전자기펄스 EMP 폭탄의 공격 효과 - 모든 전기 전자장비를 파괴하고 세상을 암흑천지로 만들어버리는 블랙아웃(black-out) 현상 18세기 후반까지 우리나라에는 전기가 없었습니다. 발전기를 도입한 1887년 경복궁 건청전에 우리나라 최초로 전기가 공급됐습니다. 세상에서 흔히 말하기를 지구상에 전기가 없다면 원시시대와 다름없다고 말하지만, 지나치게 과장된 말이면서도 전혀 틀린 말은 아닙니다. 현대 문명은 100여 년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발전했습니다. 근래 들어 전기사용량 폭증으로 대규모 정전이 일어나는 이른바 블랙아웃(black-out) 현상이 일부 지역에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암흑천지가 된 블랙아웃 현상은 짧은 시간에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발생했습니다.. 2018. 5. 19.
북한의 핵탄두 탑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북한의 단거리 탄도미사일부터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탄도미사일은 로켓 엔진의 추진력으로 날아가는 미사일을 말합니다. 북한은 핵탄두 소형화에 성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에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실제 북한이 탄도미사일에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기술까지 이르렀는지는 알 수 없지만, 미국은 북한이 소형 핵탄두 개발에 성공해 대륙간탄도미사일에 핵무기를 탑재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북한이 기술력만 있다면 단거리, 중거리, 장거리 탄도미사일에는 핵탄두를 모두 탑재할 수 있습니다. 북한의 탄도미사일은 300km 내외의 전술 탄도미사일, 1000km 이하의 단거리 탄도미사일, 3000km 이하의 준중거리탄도미사일, 5500km 이하의 중거리탄도미사일, .. 2018. 5. 13.
핵무기(핵탄두) 탑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보유국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 인도, 파키스탄, 이스라엘, 북한은 핵무기 보유국 미국, 러시아, 중국, 인도, 이스라엘, 북한은 핵무기(핵탄두) 탑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보유국 영국과 프랑스는 ICBM급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보유국 지구촌 전체 핵무기의 90%, 핵무기(핵탄두) 탑재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과 핵무기(핵탄두) 탑재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의 95% 보유국이 바로 미국과 러시아(구소련)입니다. 세력 확장의 동서냉전 시대 미국과 구소련(러시아)은 앞다투어 군비경쟁에 열을 올렸습니다. 군비경쟁은 재래식 무기에서 핵무기로, 핵무기에서 수소폭탄으로 이어졌고, 급기야 먼 거리에서도 핵무기를 사용할 수 있는 핵무기(핵탄두) 탑재 대륙간탄도미사일로 대치하는 상황까지 왔.. 2018. 5. 12.
완전한 한반도 비핵화(북핵폐기) 합의 과정 남북 정상회담의 판문점 선언은 불가역적 비핵화, 북한의 완전한 핵폐기 실현을 위한 첫걸음 에서 의 과정 1968년 유엔(UN) 총회에서 채택된 핵확산금지조약(NPT)은 1970년 발효되었습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NPT 조약이 체결된 이후 지구촌 핵무기는 빠른 속도로 보유량이 늘어났습니다. 1980년대 중반 전 세계 핵무기가 최대치(약 7만여기)를 기록했고, 지금은 약 1만 5천개 정도의 핵무기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량살상무기인 핵무기는 생화학무기와 함께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악마의 무기입니다. 당시 지구촌에서 핵무기를 보유한 나라는 유엔안보리 상임이사국 미국, 구소련, 영국, 중국, 프랑스였습니다. '핵무기 불확산에 관한 조약(NPT)'은 기존의 핵무기 보유국만 핵보유국으로 인정하고.. 2018. 5. 6.
남북 정상회담 4.27 판문점 선언 전문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 군사분계선 남쪽 평화의 집에서 열린 2018년 제3차 남북정상회담과 4.27 판문점 선언 전문 2차 세계대전 말기 세력 확장을 하던 미국과 구소련에 의해 1945년 한반도는 남북한으로 분단되었습니다. 1950년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전쟁은 1953년 유엔과 중공(중공)과 북한이 정전협정문에 서명하면서 현재까지 휴전상태가 지속하고 있습니다. 정전협정 이후 근 50년 동안 한반도의 주인인 남북한은 남북 간 교류와 협력, 남북한의 전쟁을 종식과 미래 한반도의 통일과 평화체제의 물꼬를 트기 위해 남북한 실무자가 만나 수백 차례 회담을 했습니다. 1994년 남북한 정상은 북한의 평양에서 만나 정상회담을 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그러나 북한 김일성이 갑작스럽게 사망하면서 남북 정상회담이 열.. 2018. 5. 5.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 태평양 거대 쓰레기섬 죽음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바다, 거대한 쓰레기하치장이 되어 버린 대양(大洋)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 - 태평양 거대 쓰레기섬과 지구 해양에 떠 있는 거대 쓰레기섬 프랑스의 농학 전문가이며, 쓰레기처리 전문가인 카트린 드 실거가 쓴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란 책이 2014년 번역 출판되었습니다. 과거 중세유럽의 쓰레기와 싸움을 비롯한 현재 쓰레기를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환경마피아에 이르기까지 쓰레기와 관련된 여러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의 저자 카트린 드 실기는 인간이 쓰레기를 덜 만드는 방법밖에 없다고 했습니다. 쓰레기 문명의 그림자 카트린 드 실기의 말처럼 위생관념이 뿌리내리고, 급격한 인구 증가와 인류 문명이 발전으로 생활의 편리함을 추구하면서 쓰레기양은 급격하게 늘어.. 2018. 4. 29.
쓰레기의 역습 중국발 재활용 쓰레기 대란 인간이 만든 문명의 그림자 쓰레기의 역습 - 중국발 재활용 쓰레기 대란 최근 이른바 중국발 재활용 쓰레기 대란이 우리나라를 비롯해 지구촌 전역에서 일어났습니다. 재활용 쓰레기 대란 사태뿐만 아니라 엄청나게 쏟아져 나오고 있는 산업 쓰레기(폐기물)와 일반 쓰레기, 방사능 폐기물 등 역시 또 다른 쓰레기 대란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인간이 만들고 배출한 문명의 어두운 그림자를 쓰레기의 역습이라고 말합니다. 지구촌 전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재활용 쓰레기 대란을 일각에서는 중국발 쓰레기 대란이라고 부르며 중국에 원성을 보내고 있지만, 중국은 지구촌의 고민을 한동안 해결해준 나라입니다. 중국은 그동안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지구촌에서 전역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절반 이상을 수입한 나라입니다. 인간이 배출하는 대부분 쓰레.. 2018. 4. 28.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와 남북한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1953년 7월 27일 휴전협정(정전협정)이 체결된 옛 판문점과 군사정전위원회가 설정한 현재의 공동경비구역(JSA, Joint Security Area) 구속력과 실효성이 없는 남북한 종전선언과 한반도의 전쟁을 종식하는 정전협정 평화협정 1951년 7월 8일 북한의 개성에서 한국전쟁 휴전협정(정전협정)을 위한 첫 대화가 시작으로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이 체결됐습니다. 판문점은 1953년 7월 27일 정전협정(휴전협정)이 체결된 지명입니다. 공동경비구역 JSA는 유엔군과 중국과 북한 등 군사정전위원회가 1953년 10월 휴전협정 이행 관리와 통제, 감시와 감독을 위해 군사분계선(휴전선)을 기준으로 판문점 인근을 공동경비구역(JSA)으로 설정했습니다.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JSA는 군사분계선(휴전선).. 2018. 4. 22.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자유의 집) 북측 통일각(판문각)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 감시위원회가 공동으로 관할하는 특수지역 남북한이 중화기로 무장한 유명무실한 비무장지대(DMZ)와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과 자유의 집, 북측 통일각과 판문각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oint Security Area, JSA)은 휴전협정(정전협정)에 서명한 유엔군과 중국과 북한, 그리고 중립국(스위스, 스웨덴,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이 공동으로 관할했습니다. 비무장지대 안에 있는 특수지역 판문점은 지명(地名)이고, 공식명칭은 공동경비구역(JSA)입니다. 휴전협정에 의해 설정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은 군사분계선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약 600m, 동서로 약 800m에 이르는 장방형 지역입니다. 군사분계선 남쪽은 유엔군이 경비를 맡고, 군사분계선 북쪽은 북한(공산 진영)이 경비를 맡.. 2018.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