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3759

안중근 의사 이토 히로부미(이등박문) 사살 1909년 10월 26일 대한의군 참모 중장 안중근 의사 국가와 민족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이등박문) 사살 일본 제국주의가 무력을 앞세운 폭거(暴擧), 1905년 을사늑약과 1907년 정미7늑약을 계기로 일제의 강압에 항의하고 주권을 되찾기 위해 수많은 항일 의병이 일어났다. 1910년 8월 29일은 대한제국이 무력을 앞세운 일본 제국주의가 강제로 합병한 치욕적인 날로 대한제국 패망일이다. 1910년에 일제의 만행에 분노한 대한제국의 백성이 나라의 주권을 찾고, 일본 제국주의 만행에 항거하기 위해 분연히 일어나 조직한 것이 의병(義兵)이다. 의군(義軍)은 의병(義兵)과 같은 말이다. 안중근 의사(1979~1910)는 대한민국의 국민이 아니고 대한제국의 백성(국민)이었다. 안중근 의사가 이토 히로부미(이등.. 2016. 10. 26.
민족반역자 매국노 을사5적(오적) 정미칠적(7적) 경술국적 나라를 팔아먹고 호의호식한 민족반역자 친일파 매국노(賣國奴) 을사5적(오적), 정미7적(칠적), 경술국적 나라를 팔아먹은 만고의 역적 이완용은 친일파 민족반역자 매국노(賣國奴)의 대명사다. 이완용은 1905년 을사늑약(제2차 한일협약) 당시 학부대신이었고, 1907년 정미7조약(한일신협약, 제3차 한일협약))과 1910년 한일합병조약(한일강제병탄, 경술국치) 당시에는 내각총리대신이었다. 절차와 형식에서 국제법상 조약으로 인정될 수 없는 을사늑약, 정미7칠조약, 한일합방조약(강제병탄)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인물 이완용은 을사5적(을사오적), 정미7적(정미칠적), 경술국적에 모두 포함돼 있다. 을사(乙巳, 1905)년에 나라의 외교 주권을 팔아먹은 친일파 민족반역자 매국노 다섯 명을 을사오적(乙巳五賊, 을.. 2016. 10. 25.
한일강제병탄 한일합병(합방)조약 경술국치일 일본 제국주의 무력에 의한 한일강제 병탄, 한일합병(합방)조약으로 대한제국 멸망 - 1910년 8월 29일 경술국치일 병합(倂合, 합병合倂)의 문자적 의미는 기구와 기업과 단체 등과 두 나라 이상의 국가가 하나의 국가로 합쳐진 것을 말한다. 병탄(倂呑)은 무력(武力)을 사용하여 남의 집이나 나라를 침범하여 재물이나 영토를 침탈(侵奪)하여 자기 것으로 만드는 행위로 강도와 도둑놈이 이 상황에 해당한다. 경술국치일(庚戌國恥日)은 나라의 국권을 침탈당한 치욕을 당한 날이며, 우리 민족 역사상 가장 치욕적인 날이다. 고려와 조선 왕조가 원나라와 명나라, 청나라의 속국이 된 적은 있었지만, 국가는 존속했었다. 그러나 이른바 한일합병(합방)조약, 한일강제 병탄으로 대한제국이 멸망하면서 백성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주는.. 2016. 10. 24.
가쓰라-태프트 밀약과 을사늑약(을사조약) 탐욕에 눈먼 제국주의 국가 일본과 미국의 밀약 '가쓰라-태프트 밀약'과 일본 제국주의에 의한 대한제국 외교권 강탈사건 1905(을사乙巳)년 11월 17일 을사늑약(을사조약) 밀약(密約)은 약속을 한 두 당사자 외에는 아무도 모르게 맺은 비밀 약속이다. 늑약(勒約)은 소와 말에게 굴레를 씌워 억지로 끌고 가듯 무력 또는 강압에 의해 억지로 맺은 불평등한 강제협정을 말한다. 반면, 조약(條約)의 문자적 의미는 국제법상 국가 간에 합의된 내용을 문서에 명시적으로 기록한 국제협정을 말한다. 격변의 20세기 초는 제국주의 열강들이 영토 확장과 탐욕에 눈이 멀어 식민지 쟁탈전에 미쳐 날뛰던 시기였다. 동서양 제국주의 국가는 약소국 침탈을 위해서 침략전쟁도 불사했고 식민지 확대를 위해 제국주의 국가 간에 야합도 했다.. 2016. 10. 23.
조선의 왕 왕비 왕세자의 수렴청정 대리청정 섭정(원상제) 조선왕조 왕과 왕비, 왕세자의 수렴청정과 대리청정, 섭정(원상제) 조선왕조에는 수렴청정과 대리청정, 섭정(원상제) 등 왕을 보필하여 나라를 다스리는 제도가 있었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주체는 나이와 상관없이 무조건 왕이다. 수렴청정과 섭정을 한 일부 왕비와 훈구(공신), 외척 등의 특정 세력이 권력을 전횡하여 왕의 권위를 넘는 등 실질적으로 왕이 국정운영의 주체가 되지 못했던 때도 있었다. 수렴청정과 대리청정을 한 왕대비와 대왕대비, 왕세자의 지위와 권위는 왕과 동등하게 인정되어 국정을 운영하였다. 그러나 수렴청정과 대리청정이 왕과 동등한 권위를 가지고 왕을 보필 또는 대리로 국정을 운영하는 제도이지만, 엄밀하게 말해 왕을 보좌하는 제도다. 수렴청정과 대리청정도 모두 섭정(攝政)에 포함하지.. 2016. 10. 22.
소현세자 이왕(독살설)과 부인 강빈(민회빈 강씨) 인조의 큰아들로 왕이 되지 못한 비운의 왕세자 소현세자 이왕(독살설)과 부인 강빈(민회빈 강씨) 여진족(만주족)은 만주를 통일하고 1616년(광해군 8) 후금(候金)을 창업했다. 소현세자 이왕(1612~1645)은 능양군 이종(인조, 1595~1649)과 청주 한씨(인렬왕후) 사이에서 큰아들로 태어났다. 소현세자 이왕이 태어날 때 왕은 광해군(4년)이었다. 당시 인조도 왕이 아닌 능양군이었고 1623년 반정으로 왕위에 올랐다. 반정의 명분은 크게 광해군의 폐모살제와 중립적인 대청(對淸) 외교문제였다. 인조반정(1623년)으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권력을 잡은 세력은 서인이었지만 조선의 붕당의 모두 대명사대(大明事大)주의자들이었다. 인조반정으로 능양군 이종이 조선 16대 왕으로 즉위하였고, 1625년(인조 .. 2016. 10. 21.
조선 3대 악녀(요부) 장녹수 정난정 김개시(장희빈) 막강한 권력을 휘두른 조선 3대 악녀(요부) 장녹수, 정난정, 김개시(김상궁), 조선 19대 왕 숙종의 왕비였으며 조선 20대 왕 경종의 어머니 장희빈(장옥정) 우리는 지나간 역사 속에서 불행한 과거사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잘못된 원인을 살펴보고 역사적 교훈을 상기하면서 미래를 열어간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불행하고 참담한 역사는 끊임없이 되풀이된다. 고집불통, 독불장군식 독재를 일삼는 최고통치자와 그 옆에 빌붙은 권력 실세들이 권력을 전횡한 역사는 지금 이 순간도 시대만 달리할 뿐 똑같이 자행되고 있다. 조선왕조에서 왕과 왕비의 권력을 등에 업고 국정을 좌지우지했던 3대 악녀(요부妖婦)로 장녹수와 정난정, 김개시(김상궁)와 장희빈(장옥정)을 꼽는다. 장녹수와 정난정, 김개시(김상궁)는 노비출신이다. 조.. 2016. 10. 20.
사도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씨 한중록 사도세자의 부인이며 정조대왕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헌경왕후와 헌경의황후로 추존)가 쓴 『한중록』 조선 21대 왕 영조대왕 이금은 비천한 무수리(숙빈 최씨)의 몸에서 태어났으나 노론의 지지를 받고 왕으로 즉위하였다. 사도세자의 부인이며 정조대왕 이산의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친정아버지 홍봉한은 노론의 영수다. 홍봉한은 영조 때 영의정을 지냈고 작은아버지 홍인한은 좌의정을 지냈다. 영조가 탕평책으로 노론과 소론을 조정에 고르게 등용하였지만, 국정은 노론이 주도하고 있었다. 1728년(영조 4) 영조를 왕으로 인정하지 않는 이인좌의 난은 소론과 남인 일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1744년(영조 20) 영조대왕 이금과 후궁 영빈 이씨 사에서 태어난 왕세자 이선(사도세자, 1735~1762)이 홍봉한의 딸 풍산 홍씨.. 2016. 10. 19.
순조의 부인 효명세자의 어머니 순원왕후 안동김씨 세도정치 조선 23대 왕 순조대왕의 부인(왕비)이며 효명세자의 어머니 순원왕후와 안동 김씨 세도정치 개혁군주 조선의 22대 왕 정조대왕 이산(1752~1800, 재위 1776~1800)이 승하하자 11살의 순조(1790~1834, 재위 1800~1834)가 조선 23대 왕으로 즉위하였다. 순조가 즉위하자 조선 21대 왕 영조의 계비이며 노론 벽파의 지지를 받고 있던 대왕대비 정순왕후 경주 김씨가 수렴청정을 한다. 순조의 부인이며 효명세자 이영(1809~1830)의 어머니인 순원왕후 안동 김씨(1789~1857, 재위 1802~1834)는 노론 시파의 아버지 김조순과 어머니 청송 심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정조대왕은 승하하기 전 김조순에게 왕세자 이공(순조)을 잘 보필하여 달라고 부탁하였다. 김조순의 딸이 이미 왕세.. 2016. 10. 17.
비련의 왕비 중종의 부인(조강지처) 단경왕후 거창신씨 7일 만에 폐위된 비련의 왕비 중종대왕 이역의 부인(조강지처) 단경왕후 거창 신씨 조선 9대 왕 성종의 제1계비 폐비 윤씨의 아들이 조선 10대 왕 연산군이고, 성종의 제2계비 정현왕후(파평 윤씨) 아들이 조선 11대 왕 중종대왕 이역이다. 연산군과 중종은 모두 성종의 아들이며 이복형제다. 조선 9대 왕 성종과 제2계비 정현왕후(자순대비) 사이에서 태어난 진성대군 이역은 12살이 되던 1499년(연산군 5)에 연산군의 처남인 신수근의 딸(13살)과 길례(혼례)를 올린다. 폭군 연산군을 몰아낸 중종반정으로 조선의 11대 왕으로 즉위한 중종대왕 이역(1488~1544, 재위 1506~1544)의 조강지처는 비련의 왕비 단경왕후 거창 신씨(1487~1557, 재위 1506년 9월 2일 ~ 9일)다. 중종반정으.. 2016.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