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광명의 빛꽃을 온몸에 가득 채워
병든 몸과 마음을 자가치유하는
선정화 명상 수행을 알려드립니다.
증산도 진리 책자를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655

단군세기 태백일사 삼국유사 제왕운기 필원잡기 응제시주 성호사설 세종실록지리지 승정원일기의 기록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단군왕검의 장자 부루태자의 진실>《환단고기》의 와 , 일연의 , 이승휴의 , 권근의 , 서거정의 , 이익의 , 와 등에 기록된 역사적 사실     '부루단지' 문화는 지금은 그 자취를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예로부터 정성을 다해 조상님을 모신 우리의 소중한 문화가 있습니다. 대청(大廳, 방과 방 사이 큰 마루)과 안방의 장롱 또는 선반, 부엌 등 곡식을 담은 항아리에 담아 조상님을 모신 문화입니다. 가정마다 조상신을 모신 부루단지는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고 항아리의 크기도 다양합니다.   '신줏단지 모시듯 한다'라는 말처럼 정성을 다해 아주 귀하게 섬겨온 문화입니다. 우리 민족의 오래된 문화지만, 대한민국 역사학계는 민간신앙이라 그 유래를 알 수 없다고 합니다. .. 2025. 3. 21.
시천주의 동학 수운 최제우 사인여천의 2대 해월 최시형 인내천의 천도교 3대 의암 손병희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인간으로 오시는 천주님을 모시는 시천주(侍天主)의 수운 최제우 대신사와사인여천의 2대 해월 최시형과 인내천(人乃天)의 천도교 3대 의암 손병희     1881년 '교훈가', '안심가', '용담가' 등 아홉 편의 한글 가사로 구성된 라는 제목으로 세상에 나왔습니다. 과 을 완역했고, 2022년 를 역주한 도올 김용옥 선생은 遺詞>라는 책 제목의 한자 표기가 잘못됐다고 날카롭게 지적했습니다.   1860년부터 1863년까지 노래 가사 형식으로 집필된 한글 가사는 단순히 '남긴 말씀의' 遺詞>가 아니라 諭詞>라는 제목이어야 한다고 강력하게 주장했습니다. 왜냐하면 는 수운 최제우 대신사가 우주 통치자이신 상제님과의 천상문답(天上問答) 사건의 득도(得道) 체험과 깨달음을 세상에.. 2025. 3. 20.
이토 히로부미부터 아베 노부유키까지 일제 조선 통감과 총독 역사와 문화 말살정책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이토 히로부미부터 아베 노부유키까지 일본 제국주의의 역대 조선 통감과 총독의 일관된 한민족 역사와 문화 말살정책    2023년 10월 26일 불상 소유권에 관한 우리나라 대법원판결이 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제작된 불상이 고려 말 왜구에게 약탈당했고, 2012년 일본에 있던 불상을 절도범이 우리나라에 들여온 사건에서 대법원은 일본 소유권을 인정한 판결을 내린 것입니다. 최영, 이성계 최무선 장군 등은 왜구의 약탈이 심했던 고려 말 왜구 토벌을 큰 공을 세웠습니다.  고려 말은 왜구의 약탈이 가장 심했던 때이며, 충남 서산의 부석사 불상도 이때 왜구가 약탈해 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임진왜란으로 전 국토가 쑥대밭이 되다시피 했고 많은 인명 피해와 수많은 문화재 등이 .. 2025. 3. 19.
신라 이사부 장군 지증왕 때 우산국(울릉도) 복속 진흥왕 때 고령 대가야 정복 임나 4촌 정벌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신라 21대 임금 지증왕 때 우산국(울릉도)을 복속시키고, 23대 진흥왕 때 '고령 대가야를 정복?'했다는 이사부 장군      일제 식민사학자와 식민사학을 추종하는 한국의 주류 역사학자들은 '일본서기'에 와 기록을 억지로 맞추려고만 합니다. 또한 '임나는 곧 가야'라고 일관되게 주장합니다. '일본서기'의 내용은 와 등 우리 역사를 기록한 사료와 맞지 않는 부분이 많다는 사실은 누구도 부정하지 못합니다.    와 는 김수로왕이 건국한 가야의 건국 연도를 정확하게 서기 42년이라고 쓰여 있습니다. '일본서기'에는 서기 42년 가야 건국 내용이 없고, 가야가 건국되기 70여 년 전인 서기전 33년에 '임나'가 존재한 것으로 나옵니다. 또한 가야가 멸망했다는 562년 이후.. 2025. 3. 18.
빛의 인간 빛의 문명 비전을 제시하는 증산도 상생방송 2025년 3월 3주 tv편성표 우주 만유를 낳은 궁극의 근원에서 나오는 빛을 몸과 마음과 영체에 영원한 빛을 채워어둠을 몰아내 빛의 인간으로 거듭 태어나 기술문명을 초월한 도술(道術) 문명,빛의 문명 비전을 제시하는 증산도 STB상생방송 2025년 3월 3주 TV방송편성표    현재까지 역사 기록으로 보면 약 2,500년 전 그리스 탈레스가 활동했던 시기에 정전기(靜電氣), 곧 전기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됐다고 합니다. '정전기'는 물리적 현상이기 때문에 본래부터 있었던 현상입니다. 그러나 '전기(electricity)'를 뜻하는 용어가 탈레스가 호박(琥珀)을 닦다가 발견하여 호박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elecktron'에서 유래됐기 때문에 탈레스가 처음 발견한 현상이라고 합니다.  전기와 자기에 관한 연구는 그로부터 약 2천 년이 지.. 2025. 3. 17.
증산도 상생방송 개벽문화 북콘서트 개벽을 넘어 빛의 시대로 증산도 STB상생방송 《개벽문화 북콘서트》'지구의 위기와 새로운 미래문명의 비전, 개벽을 넘어 빛의 시대로'일시: 2025년 3월 30일 일요일 오후 3시장소: 서울특별시 코엑스 마곡 르웨스트 홀( 강서구 마곡중앙로 143)    최첨단 문명이기가 있지만, 일상화된 기상이변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재난안전상황실'을 1년 365일 24시간 상시 운영하는 지방자치단체가 하나둘 늘고 있습니다. '재난안전상황실'의 상시 운영은 예측이 어려운 자연재해와 사회재난이 갈수록 일상화되고 대형화되면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함입니다.      화재, 붕괴, 폭발, 환경오염, 육해공의 교통사고 등 사회재난은 대부분 예방 가능성이 높은 인재(人災)인 경우가 많습니다. 자연재난은 인적, 물적 피해 규모가 사.. 2025. 3. 16.
강력한 왕권을 확립한 대륙백제 양직공도와 잊혀진 땅 백제 22담로의 비밀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강력한 왕권을 확립한 대륙백제, 중국의 양나라(502~557) 때 제작된사신도(使臣圖)인 양직공도(梁職貢圖), 잊혀진 땅 백제 22담로의 비밀    단군왕검의 조선을 계승하여 북부여를 건국한 해모수 단군의 후손인 고주몽 성제는 북부여 7세 단군으로 즉위한 후 나라 이름을 고구려로 바꿉니다. 고주몽 성제는 유화 부인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첫째 아들인 유리에게 권좌를 물려줍니다. 둘째 부인인 소서노와의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 비류와 온조는 어머니와 함께 고구려를 떠납니다.  소서노와 비류와 온조는 현재의 허베이성 난하 유역의 패대(浿帶, 옛 대방 땅)로 옮겨가 왕국을 세웁니다. 고주몽 성제는 새로운 나라를 세운 소서노에게 어하라(於瑕羅)라는 왕의 호칭을 내려줍니다. 소서노 어하.. 2025. 3. 15.
신라 법흥왕과 고대 한반도 남부의 금관 아라 고령 대가야 성산 소가야 6가야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이차돈의 순교로 신라에 불교를 공인하고 승려가 된 23대 임금 법흥왕  고대 한반도 남부의 금관, 아라, 고령, 대가야, 성산, 소가야의 6가야     가락국을 창업한 김수로와 허황옥은 10남 2녀를 두었습니다. 네 번째 아들부터 열 번째 아들까지 일곱 왕자는 서기 98년 인도에서 허왕옥과 함께 온 오빠 장유화상을 따라 출가했고, 현재의 경남 하동군 칠불사에서 득도합니다. 칠불사 연혁에 따르면 가락국 시조 60(서기 101)년 일곱 왕자가 가야산에서 현재의 칠불사로 옮겨왔다고 합니다.  고구려는 17대 소수림왕(재위 371~384) 때 불교를 공인했습니다. 현재의 전라남도 영광군에 있는 불갑사는 백제 침류왕(재위 384~385) 때 인도에서 온 마라난타기 창건한 사찰이라.. 2025. 3. 14.
대마도 쓰시마섬은 임나다 일본서기를 동양 최고의 역사서로 인식하는 한국 역사학계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임나(任那)였다>를 동양 최고의 역사서로 인식하여 '정설(定說)'과 '통설(通說)'이라고주장하는 한국 역사학계는 일본의 식민사학이 깔아놓은 레일 위를 달리는 기차다.     '임나일본부설(任那日本府)', '남선경영론(南鮮經營論)',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원삼국 시대' 등은 표현만 다를 뿐 그 안에 담긴 간악한 의도는 동일합니다. 일제가 침략 행위를 정당화하고 식민 지배의 명분으로 내세운 이론이며, 식민사학의 후예인 대한민국 역사학계가 '정설'이라고 목 터지게 외치고 있습니다.    '조선을 정벌하자'는 소위 '정한론(征韓論)'은 1868년 일본의 지방 무사들이 막부 정권을 타도하고 왕정을 복구한 명치유신(明治維新, 메이지유신)을 전후하여 대두된 침략론입니다... 2025. 3. 13.
세종대왕 북방 여진족 정벌로 4군 6진 개척 한반도 압록강과 두만강 국경선 확정 《역사 뒤집어 보기 역썰 시즌2》 명나라가 획정한 조선과의 국경, 조선 4대 임금 세종대왕 때 여진족 정벌의4군 6진 개척으로 현재의 한반도 북쪽 경계인 압록강과 두만강 국경선 확정?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창업했고, 성종 재위 때는 조선 초기였기 때문에 역사적 기록이 많아 남아 있었습니다. 양성지는 1455(세조 1)년 조선 왕조 최초의 지리지인 '팔도지리지(八道地理志)' 제작에 참여했고, 1481(성종 12)년 국경 지역의 군사지도인 '연변성자도(沿邊城子圖)'를 제작하여 성종에게 진상한 인물입니다.      의 을 보면 양성지가 성종에게 글을 올립니다. 성종 12년 10월 17일 "우리 고황제(高皇帝, 명나라 주원장)는 만리를 밝게 보시어 요동의 동쪽 180리의 연산 파절(連山把截)로 .. 2025. 3. 12.